경북도청 이전 빠르면 내년 7월

입력 2014-06-26 09:47:35

새출발위 7월 제안, 교통 하수처리 지연 6개월 교통비만 37억

경북도청 이전이 당초 예정이던 올 연말에서 최소 6개월 이상 늦춰져(본지 16일 자 1면 보도) 아무리 빨라도 내년 하반기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단순한 도청의 위치 이전은 대구경북의 발전에 전혀 보탬이 안 된다는 의견이 도정 자문기구로부터 도출됐으며 도청 이전 성공을 위해 ▷고속철도'고속도로 신설 및 예천공항 재개항을 통한 교통망 완비 ▷북부권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통한 북부권 경제 자립능력 증대라는 전제 조건이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제시돼 도청 이전 논의가 새로운 국면으로 흐르고 있다.

경북도청 자문기구인 '새출발위원회'(위원장 하춘수)는 26일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도청 이전 시기를 내년 7월로 제안했다. 위원회가 이 같은 안을 제시함에 따라 도청 이전은 이르면 내년 7월, 더 지체되면 내년 연말 가까이 돼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위원회는 도청 이전 연기와 관련해 진입도로 공사 공정률이 안동 방면은 50%, 예천 방면은 5%에 불과해 내년 4~6월 사이에야 개통이 가능하며, 신도시 내 학교도 유치원'초'중학교가 내년 2학기에나 개교할 것으로 보여 현실적으로 올해 이전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공무원 임대아파트 644가구 준공도 내년 12월에 가능하고 민간분양아파트 1천287가구도 내년 말에서 2016년 사이에 준공 예정이어서 올해 이전을 강행하면 도청 직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집이 없는 상황이라고 위원회는 설명했다. 위원회는 기반시설 중 가장 중요한 하수처리장의 현재 공정률이 47%로 내년 여름에 준공하는데, 하수처리시설이 완공되지 않으면 건물 사용허가가 나지 않아 신청사에 들어갈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위원회에 따르면, 이런 상황에서 도청 이전을 강행할 경우 대구에서 출퇴근이 불가피해 도청 이전 초기 6개월간 37억원이 넘는 돈을 통근버스 비용으로 길바닥에 쏟아부어야 한다는 것.

이런 가운데 위원회는 도청 이전 성공을 위한 새로운 전제조건을 경북도에 통보하기로 했다. 우선 경북과 세종시'충청권 연결 및 한반도 위도 36도 선상의 새 경제권 대동맥이 될 '동서 5축(울진~도청신도시~세종시~보령) 고속도로'와 경북 내륙지역에서 수도권으로 바로 연결되는 중부내륙 KTX 조기 착공을 제안했다. 또 경북 북부권의 새 성장동력 마련과 도청 신도시 자족 기능 담보를 위해 도청 신도시 주변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공식 제안했다.

위원회는 또 '도청 신도시와 북부지역의 하늘길도 열어야 한다'며 인천공항, 남부권 신공항과 연계되는 항공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예천공항 재개항도 정책 과제로 내놨다.

하춘수 새출발위원회 위원장은 "하루속히 도청을 옮겨야 한다는 북부권의 목소리도 있지만 대구경북 전체의 발전을 생각해야 하기에 도청 이전은 신중해야 한다"며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3선 도지사로서의 경륜을 살려 경북'강원'충청을 잇는 '광역협력 네트워크'를 강화, 도청 이전의 성공 전제조건부터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