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유소 12일 '동맹휴업'…대구 3곳 중 1곳 문 닫아

입력 2014-06-10 11:30:03

'거래 상황 주간보고' 반발

7월 시행하는 '석유제품 거래상황기록부 주간 보고'에 대해 주유소업계가 '동맹휴업'이라는 강경 카드를 꺼냈다. 업계는 정부가 실효성도 없는 과도한 규제를 강요하고 있다며 2년간 유예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주유소협회는 전국 3천29개 회원 주유소가 12일 동맹휴업에 동참할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전국 1만2천616개 주유소의 24%로 4곳 중 1곳이 휴업하는 셈이다. 휴업 참여 주유소는 경기도가 355개로 가장 많고 경북 321개, 전남 301개, 경남 262개 순이다. 대구지역은 410개 주유소 가운데 140개가 휴업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동맹휴업의 발단은 다음 달 1일부터 일선 주유소가 판매하는 석유제품량을 주간 단위로 정부에 보고하라는 정부 방침 때문이다. 정부는 가짜석유를 근절하기 위해 주간단위 보고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현재 주유소는 매달 주유소협회에 석유제품 거래 상황을 보고하고 있지만 이 방침에 따르면 매주 석유관리원에 직접 보고해야 한다.

한국주유소협회 측은 현재 주유소는 주간 보고를 할 인력과 시간, 시스템이 전무한 상황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김문식 협회장은 "산업통상자원부가 2년만 유예 기간을 준다면 휴업을 철회하고, 주간 보고뿐 아니라 석유제품 수급보고 전산화시스템도 도입하겠다"면서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주간 보고를 시행하면 일선 주유소는 과태료를 피할 수 없다"고 말했다.

대구지역 주유소 업계도 주간 보고가 실효성이 없다며 동맹휴업에 참여할 예정이다. 주유소협회 대구지회 도명화 사무국장은 "가짜석유 근절은 꾸준한 단속이 해법이지 주간 보고는 오히려 주유소 운영 시간을 뺏는 결과를 불러올 것"이라며 "정부가 유예기간을 주지 않을 경우 12일 휴업 후 2차 휴업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루 휴업으로 주유소는 매출 1천25만원, 영업이익 10여만원의 손해가 예상된다. 전체 휴업 주유소로 범위를 넓히면 영업손실은 3억여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동맹휴업에 대해 산자부는 협회의 설립허가를 취소하고, 동맹휴업에 참여하는 주유소 사업자를 처벌하는 등 강력히 대응할 것을 예고하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