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세 자영업자들의 살림살이가 급격하게 팍팍해지고 있다. 사업 및 생활 자금 대출에 따른 원리금 상환액이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영세자영업자들의 경우 여러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받은 다중채무자가 많은데다 대부업체 등 비은행권에서 고금리 대출을 받아 재무구조는 앞으로 더욱 취약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26일 현대경제연구원이 통계청의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인 자영업자의 연 원리금 상환액은 1천197만원으로 2012년(996만원)보다 20.2% 증가했다. 원금상환액은 826만원, 이자지급액은 371만원이었다.
같은 기간에 고용주(임금근로자를 고용한 자영업자)와 임금근로자의 연 원리금상환액 증가율은 각각 5.7%(2천419만원→2천556만원)와 17.1%(850만원→995만원)였다.
특히 1인 자영업자의 이자지급액 증가율은 12.4%로 고용주(-5.8%), 임금근로자(0.0%)를 크게 웃돌았다. 1인 자영업자의 이자 부담이 크게 증가한 이유는 3건 이상의 금융대출이 있는 다중채무가구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영세자영업자들이 담보 및 신용 부실 등의 이유로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인 은행권 대출에서 탈락하고 있는 상황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불가피하게 필요한 사업·생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고금리의 비은행권을 찾게 되면서 악순환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인 자영업자 가구의 비은행권 대출액은 2012년 1천824만원에서 2천376만원으로 30.3% 증가했다.
아울러 1인 자영업자 중 다중채무가구의 부채는 같은 기간에 1억2천314만원에서 1억6천42만원으로 30.3% 늘었다. 1인 자영업자 가구(225만2천가구) 중 다중채무가구 역시 42만6천 가구로 18.9%에 달했다. 문제는 이들 가운데 37%는 기한 내 채무상환이 가능하지만 43.5%는 기한 경과 뒤에야 상환이 가능하고 19.5%는 아예 상환이 불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영세자영업자들에 대한 저리의 금융지원이 절실하다고 당부하고 있다.
한편 1인 자영업자의 가계부채 증가 원인으로는 생활비(33.2%)가 가장 크고, 사업자금(21.6%), 교육비(15.5%), 부채상환(13.9%)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지난해 1인 자영업자의 소득감소 원인으로는 '동종업종간의 경쟁'이 41.8%로 가장 크고 '대형·온라인업체와의 경쟁'이 22.9%, '경기악화'가 14.6%, '임대료·인건비 등 운영비'가 11.5%, '기타'가 10.2%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