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 6년째 진척없어, 포항 융합기술지구도…영천 하이테크 해제 보류
2008년 '글로벌 지식창조형 경제자유구역'을 표방하며 출범한 대구경북의 10개 경제자유구역 중 2곳이 지구 지정 6년이 되도록 사업 진척이 없어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또 1곳은 지구해제 보류로 사업 무산을 겨우 면했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이하 경자청)에 따르면 경제자유구역에 지정된 계명대학교 대명동 캠퍼스의 '대구 국제문화산업지구'와 '포항 융합기술산업지구' 개발사업이 실시계획 미수립 및 사업자 미선정으로 무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관계기사 11면
경제자유구역법상 올해 8월 5일까지 실시계획 승인을 신청하지 못한 개발지구는 경제자유구역에서 자동해제하도록 돼 있고 대구와 포항의 지구 2곳은 그동안 '개발 부진지구'로 관리돼 왔다.
대구 국제문화산업지구는 2008년 당시 '문화진흥지구'로 지정돼 있던 계명대 대명동 캠퍼스 일원(6만7천㎡)에 게임, 디자인, 방송'문화 콘텐츠 기업과 R&D연구센터 및 교육기관을 집적시켜 세계적인 문화산업 클러스터로 키우자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경자청은 2010년 계명대 법인을 사업시행자로 선정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지만 현재까지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계명대는 교육용 기본재산을 수익용으로 용도 변경하는 데 따른 부담을 이유로 소극적인 입장이었고, 경기침체로 인해 개발대행 사업자 모집과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포항 융합기술산업지구는 포항시 흥해읍 임야 일원(370만㎡)에 바이오'의료, 소재'부품, 에너지 분야 R&D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포항IC에 인접한 이 지구는 교통여건이 우수해 초기 사업 전망이 밝았다. 경자청은 2009년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하고 사업에 착수했지만, 이후 LH의 재무구조 악화 등으로 답보상태에 빠졌다. LH는 2012년 사업추진을 재검토한다며 타당성 용역에 들어갔지만 이마저도 지난해 중단했다. 경자청은 대체 사업자를 물색하기 위해 수년간 대형 건설사들을 방문했지만 성과를 보지 못했다. 현재로선 사업 실시 계획조차 마련하지 못해 사업 재개 가능성이 희박하다.
영천 하이테크파크지구 개발사업은 아직까지 사업시행자를 찾지 못했지만 최근 개발전망이 호전되면서 올해 8월 기준으로 지구 해제가 2년간 미뤄졌다. 영천시 중앙동과 화산면 임야 일원(540만㎡)에 지능형자동차 부품, 항공부품 등 첨단 산업단지를 조성한다는 목표로 추진됐다. LH가 적자를 이유로 투자에 난색을 표해왔지만 2012년 영천시가 미국 보잉사의 MRO(항공정비산업) 사업을 유치하면서 개발 여건이 크게 개선됐다. LH도 최근 개발면적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사업추진을 재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최병록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장은 "전국 7개 경제자유구역 중 다른 지역에서도 10여 곳 이상 지구해제가 되는 것으로 안다. 대구경북에선 2곳이 해제되지만 정부의 투지 유치성과와 기반시설 개발 평가에서 전국 경제자유구역 중 상위권에 속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