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점 고심' 박 대통령…후임 총리 후보 3배수로 압축

입력 2014-05-22 10:18:52

김기춘 실장 거취 오리무중…수석회의, 후속조치 점검

후임 총리 후보가 3배수로 압축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오후 예정에 없던 수석비서관 회의를 소집했다.

청와대는 수석비서관 회의 개최는 이날 오전 김기춘 비서실장 주재로 실무수석비서관 회의를 먼저 열어 대국민담화 후속 조치 이행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박 대통령에게 보고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청와대 안팎에서는 김 비서실장과 수석비서관들이 일괄사표를 제출, 총리 인선 후 대대적인 인적 쇄신 카드를 꺼내 든 박 대통령의 운신의 폭을 넓혀주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박 대통령이 내놓을 '총리 카드'는 향후 국정운영 기조 변화를 가늠하는 시금석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치권에서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여전히 야권에서 강력하게 교체를 희망하고 있는 김 비서실장의 거취는 오리무중이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22일 김 비서실장과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등의 거취와 관련,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안다"고 전함에 따라 청와대 비서실의 전면 개편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높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사실 정홍원 총리를 '경질'하고 '해경 해체'라는 특단의 조치를 내놓고, 내각을 전면 개편하는 마당에 김 비서실장을 중심으로 한 청와대 비서실의 책임론에 면죄부를 줄 수는 없다.

야권은 물론 여권 내부에서도 김 비서실장의 교체 여부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 여름 이후 지금까지의 국정운영이 사실상 김 비서실장을 중심으로 이뤄져 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총리 교체만으로는 상처입은 국정운영의 동력을 회복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기조 변화는 총리 카드의 참신성과 김 비서실장 교체 여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문제는 김 비서실장을 대체할 만한 인물이 마땅하지 않다는 점이다. 김 비서실장이 '당'정'청' 관계를 조율하는 중심에 서 있었다는 점에서 박 대통령 주변에 그를 대신할 만한 '실세'형 참모를 찾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이 총리 카드와 김 비서실장의 거취를 두고 인선 발표 막판까지도 고심을 거듭할 것이란 관측은 그래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