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곳 중 100곳 문닫아…대구시 규제 없어 방치
교통카드 충전소가 흉물로 방치돼 있어 거리 미관을 해치고 있다.
도시철도와 시내버스가 환승 되고 은행자동화기기(ATM)에서 교통카드 충전이 가능하면서 교통카드 충전소에 손님이 줄어 운영이 어렵자 문을 닫은 채 내버려 둔 곳이 늘고 있다.
16일 대구시에 따르면 교통카드 충전소는 250여 개. 그러나 이 가운데 100여 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서구청 관계자는 "시에서 교통카드 충전소 운영과 관련된 업무를 각 구청에 일임해 시 차원에서 이에 대한 정확한 수치와 관리 상태가 파악되지 않는다"고 했다.
대구 달서구 월배로의 한 교통카드 충전소는 철제 벽면이 빼곡히 광고지로 덮여 있었다. 녹이 슬어 금방이라도 허물어질 듯한 게 보기에도 흉했다.
인근 가게 직원 이모(42) 씨는 "이곳 주인이 안 나온 지 1년도 넘었다. 날이 갈수록 주변도 더러워지고 있고, 밤에는 온갖 쓰레기가 주변에 널려 있기도 한다"고 했다.
이렇게 방치된 교통카드 충전소는 개인 소유여서 시나 구청이 철거나 허가 취소 등으로 규제할 방법이 없다.
길에서 만난 윤모 씨는 "장사가 안돼 문을 닫은 것은 어쩔 수 없다고 해도 이렇게 혐오감을 줄 정도로 낡았다면 행정기관이 관리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했다.
다른 구청 건설방재과 관계자는 "교통카드 충전소를 운영하는 사람 대부분이 고령이라 앓아누울 경우 오랫동안 문이 닫힌 채 방치된다"며 "더욱이 연락조차 잘 안 돼 구청으로선 손을 쓸 방법이 없다"고 했다.
서구청에는 고령의 교통카드 충전소 주인이 6개월 이상 영업을 하지 않는 바람에 그곳이 폐허로 변하자 이를 철거해 달라는 민원이 들어온 적이 있다. 구청은 철거 공고 우편을 보내는 등 철거 절차에 착수했는데, 그제야 주인이 도로점용 허가 신청을 하러 구청을 찾아 철거는 무산됐다.
이렇듯 구청에서도 교통카드 충전소 주인들의 사정을 자세히 파악하지 못해 철거나 관리를 하는 게 쉽지 않다.
대구시 교통카드판매인연합회 관계자는 "과거 토큰 판매만으로도 먹고살 만했던 시절, 비싼 돈을 주고 이곳을 사들인 주인들이 가격이 내려가자 원금을 생각해 소유만 하는 경우가 많다"며 "1년에 한 번 도로점용허가 비용만 내면 운영을 하든 말든 상관없어 굳이 소유권을 포기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에 대해 한 구청의 관계자는 "행정절차법에 따르면 즉시강제나 강제철거의 경우 급박한 통행에 장애를 유발하는 등의 상당한 이유가 있어야 하는데, 법적으로는 이런 점이 인정받기 어려워서 행정기관으로서도 손쓸 수 없는 상황이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