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열 치닫는 6·4 선거…경찰 24시간 단속체제

입력 2014-05-15 10:18:08

경찰은 15일 후보자 등록이 시작됨에 따라 수사전담반 인원을 증원하는 등 각종 불법선거에 대비, 총력 단속체제에 돌입한다. 특히 22일부터 본격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되는 만큼 과열된 선거 열기로 인한 무질서와 혼탁선거를 방지하고 부동표를 잡기 위한 금품 살포나 유언비어 유포 등 불법행위를 근절하는 데 전 경찰력을 집중하기로 했다.

경찰은 앞서 2월 3일부터 수사전담반을 편성하고 각 경찰서에 수사상황실을 설치하는 등 24시간 단속체제를 가동했다. 대구경찰청은 12일까지 불법선거와 관련된 41건(52명)을 단속해 2명을 불구속 입건하고 42명에 대해 수사 중이다. 후보비방과 허위사실 유포, 공무원의 선거 개입, 사전선거운동이 각각 9건으로 가장 많았고 인쇄물 배부(7건)와 금품향응 제공(6건) 등도 적발됐다. 대구는 지난 2010년 지방선거에 비해 불법선거 적발 건수는 72건에서 52건으로 줄었지만 공무원의 선거개입이 1건에서 9건으로 크게 늘었다.

경북경찰청은 14일 현재 불법선거 119건, 215명을 단속해 이 가운데 3명을 구속하고 64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122명은 현재 수사 중이다. 유형별로는 금품향응 제공이 101명(46.9%)으로 가장 많았고, 후보비방 또는 허위사실 유포 등 거짓말 선거사범 32명(14.8%), 인쇄물 배부 32명(14.8%) 등의 순이었다. 이는 지난 2010년 지방선거 기간에 적발된 77건, 104명에 비해 건수는 54.8%, 적발 인원은 106.7%나 증가했다.

이에 따라 경찰은 선거 분위기에 편승해 각종 불법행위를 부추기는 선거 브로커와 혼탁 분위기를 조장하는 흑색선전, 공무원의 조직적 선거개입에 대해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관련자들을 발본색원할 방침이다. 특히 접전 지역을 중심으로 금품 살포와 흑색선전을 단속하고 현직 지자체장이 재선에 도전하는 지역은 공무원의 선거 개입 여부를 면밀하게 살피기로 했다.

이를 위해 수사전담반을 보강하고 주요 인터넷 사이트 모니터링 전담요원 등 사이버 요원을 배치하는 등 24시간 온라인 첩보수집 및 단속도 강화한다. 특히 사전투표일(30, 31일)과 투표일(6월 4일)에는 전 경찰관 비상근무 체제에 들어갈 계획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