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65.9%→작년 52.9%…연구분야 더 심화 46% 수준
지난해 중소기업 노동자 1인당 임금이 대기업 근로자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14일 통계청 국가주요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중소기업(상시종업원 300명 미만)의 임금은 대기업(300명 이상)의 52.9% 수준이다.
이 비율은 2001년 65.9%로 가장 높았다가 2002년 62.2%, 2003년 60.9%, 2004년 57.2%로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2006년 59.9%를 기록하며 반등기미를 보였지만 다시 2007년 58.4%, 2008년 55.4%, 2009년 57.6%, 2010년 54.8%, 2011년 52.9%, 2012년 53.2%, 2013년 52.9% 하락추세다. 통계청은 "기업 규모별 임금 소득의 양극화가 점차 심해지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직원 가운데 연구개발 인력의 임금 격차는 더욱 뚜렷하다. 중소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1년 기준 중소기업 연구인력의 평균 임금은 3천305만원으로 대기업(7천250만원)의 46% 수준에 그쳤다.
이 같은 부실한 처우로 인해 중소기업 인력(이공계)의 이직률(16.8%)은 대기업(9.8%)의 두 배 가까이 된다. 국내 중소기업 가운데 52%가 최근 3년내 핵심인재의 유출로 피해를 입었다고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우수한 인력이 중소기업을 기피하고 장기재직을 하지 않아 급여 수준은 더 낮아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임은정, 첫 출근 "한때 존경했던 검찰 선배가 내란수괴…후배들 참담"
김민석 국무총리 첫 일정 농민단체 면담…오후엔 현충원 참배·국회의장 예방
'미분양 무덤' 대구 상반기 이어 하반기 첫 분양 '부자마케팅' 나름 선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