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주도 갈 때 다른 도시 공항 이용하는 일 없애야

입력 2014-04-18 11:02:41

대구시가 K2 공군기지 이전 터 개발 로드맵을 발표하고 토론회를 열었다. 이에 따르면, 2016년까지 이전부지를 선정하고, 2021년부터 본격 개발해 2025년까지 전체 부지 6.42㎢의 50%인 3.2㎢를 상업, 거주, 레저시설로 개발한다. 박물관, 공연장, 대형쇼핑센터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전과 부지 개발 사업비는 3조 5천억 원으로 추산하며, 이 사업은 개발 사업시행자의 선 투자, 후 회수 방식으로 추진한다.

K2 이전 터 개발 문제는 복잡한 양상을 띤다. 이전 문제는 지난해 초, 군 공항 이전 특별법이 제정됐고, K2 이전을 희망하는 곳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전에 걸리는 소요 기간을 제외하면 큰 걸림돌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대구공항이다. 대구시는 그동안 K2 이전에만 매달려 대구공항 이전에 대한 대안 제시는 등한시했다. K2 이전은 당연히 대구공항 이전을 포함한다. 대구공항을 그대로 두고서는 이전 터 개발의 사업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책은 전혀 없다. 현재로서는 남부권 신공항이 밀양으로 결정되기를 바랄 뿐이지만, 아직은 불투명하다. 반면 남부권 신공항의 밀양 유치에 문제가 생기면 오로지 정부가 대구 인근에 국제공항 규모의 새 공항을 건설해주기를 기대할 수밖에 없다. 이는 남부권 신공항의 밀양 유치보다 더 현실성이 떨어진다.

공항은 대도시의 현재와 미래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다. 이 때문에 대구공항 이전에 대한 대안이 없는 K2 이전은 공항을 없애고 그 자리에 아파트와 상업시설을 짓겠다는 것과 같다. 17일 토론회에서 윤대식 영남대 도시공학과 교수가 "대구공항이 없어지면 제주도를 갈 때에도 다른 도시 공항을 이용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수십 년 동안 군부대 주변 주민이 겪은 고통은 충분히 이해하고, K2의 이전도 당연하다. 그러나 대구공항 존속은 대구시와 경북도 전체의 미래와 직결한 문제다. 대구시는 지금이라도 대구공항 이전에 대한 구체적이고 확실한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부권 신공항의 밀양 유치 추진도 K2와 대구공항 이전과 연계해 당위성을 주장하는 전략도 세워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