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주성영의 서상기 지지, 뒷거래 아니겠지

입력 2014-04-16 11:17:50

새누리당 대구시장 후보 경선을 4일 앞두고 대구의 정치발전을 위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 예비경선(컷오프)에서 탈락한 주성영 전 국회의원이 경선 후보인 서상기 국회의원을 지지하고 나선 것이다. 주 전 의원은 서 의원의 뒤늦은 출마에 '서상기 스캔들'이라며 강력히 비판한 바 있다. 그랬던 주 전 의원이기에 그의 서 의원 지지 선언은 당혹스러움과 함께 '왜 갑자기?'라는 의문을 자아내고 있다.

경선과정에서 특정 후보가 다른 후보를 지지하는 것 자체는 시비의 대상이 될 수 없다. 그러나 그런 행위가 정치 발전이나 시민을 위한 것이 아니라 후보 개인의 이익만을 목적으로 한 것이라면 비판받아 마땅하다. 주 전 의원의 서 의원 지지 선언을 놓고 지역 정가에서 비판이 나오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지지 선언의 배경에는 두 사람 간에 시장과 지역구 국회의원을 맞바꾸는 '빅딜' 야합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이런 의혹에 대해 당자사들은 강력히 부인하고 있다, 하지만 주 전 의원이 컷오프 탈락 뒤 지지자에 대한 사죄 단식에 들어가면서 선거캠프에 있던 인력 상당수가 서 의원의 캠프에 합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빅딜설'을 근거 없는 의혹으로 치부할 수만도 없는 상황이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경선은 새로운 대구를 위한 시민의 잔치가 아니라 후보 개인의 영달을 위한 구색 갖추기 절차에 지나지 않게 된다.

그러지 않아도 상향식 공천이 시민의 뜻이 충실히 반영된, 말 그대로 상향식이 될지 의문이라는 걱정은 진작부터 있었다. 경선규칙상 당원 투표의 반영 비율은 50%나 되는 반면 일반시민은 20%밖에 안 되기 때문이다. 일반 시민의 투표율이 아무리 높아도 당원의 '조직표'가 결과를 좌우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얘기다.

조직 몰아주기로 이어질 특정 후보 지지 선언은 그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는 새누리당 공천이 당선 보증 수표로 통하는 대구의 특성상 당원이 아니라 시민이 원하는 사람이 대구시장 후보가 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뜻한다. 그런 점에서 주 전 의원의 서 의원 지지 선언은 그 자체로 부적절하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