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바람 세차고 눈보라 쌓여도/ 님 향한 굳은 마음은 변할 길 없어라/ 님 향한 굳은 마음은 변할 길 없어라// 어두운 밤길에 준령을 넘으며/ 님 찾아가는 이 길은 멀기만 하여라/ 님 찾아가는 이 길은 멀기만 하여라// 험난한 세파에 괴로움 많아도/ 님 맞을 그날 위하여 끝까지 가리라/ 님 맞을 그날 위하여 끝까지 가리라.'('님 찾아가는 길', 오광심)
어린 시절 부모 따라 남만주로 떠나 민족독립운동 단체인 정의부(正義府)가 세운 학교에서 민족의식을 배운 오광심(吳光心'1910~1976)은 1929년 졸업 뒤 이듬해 교편을 잡았고 조선혁명당에 가입, 독립운동도 했다. 1931년 만주사변으로 교편을 접고 조선혁명군으로 활동하던 중 평생 동지인 조선혁명군 참모장인 백파 김학규(金學奎'1900∼1967)를 만나 부부 연을 맺었다.
1937년 7월 중일전쟁 발발로 임시정부를 따라다니며 대일 항쟁에 나섰고, 1940년 9월 중경 임시정부가 창설한 한국광복군의 총사령부 사무 및 선전사업 분야에서 활동했다. 광복군 기관지 '광복'(光復)에도 참여, 한국 여성의 역할을 강조하고 항일의식을 고취하는 글을 썼다. 1942년 광복군 제3지대 소속으로 지대장인 남편과 함께 새로운 모병 임무를 맡아 완수했다. 광복 후 남편과 상해에서 교민 재산 보호 및 안전한 고국 귀국을 도왔다. 1948년 4월 귀국, 1976년 오늘 생을 마쳤다.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됐고 2010년 5월의 독립운동가로 뽑혔다.
정인열 서울지사장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