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지 반출 비용 부담하더라도…
분리수거한 재활용 폐기물 상당량을 그대로 땅에 묻어왔던 울릉군(2월 28일 자 1면 보도)이 올해부터 육지로 반출하는 비용을 부담하더라도 자원 재활용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울릉군은 12일 "올해부터 재활용 가능한 생활쓰레기를 육지로 내보내 매립 폐기물을 줄여나가겠다"며 "우선 빈병 회수체계를 정비한다"고 밝혔다.
울릉도에서는 지난 한해 80만 병 정도의 빈병이 깨져서 매립됐다. 주류도매상이 자체 회수해 육지로 반출한 수량을 제외하고 추산한 양이다. 지난해 주류도매상은 소주'맥주 등 119만5천800병을 판매했고, 판매량의 98%인 빈병 116만8천765병을 회수해 육지로 내보냈다.
하지만 주류도매상을 통하지 않고 판매된 것은 모두 매립됐다. 육지 반출에 드는 비용 때문이다. 빈병 한 상자를 육지로 보내려면 창고보관료를 제외하고도 2천580원이 든다. 이 때문에 대다수 소매점은 빈병 받기를 꺼리고, 울릉군은 팔짱만 껴왔다.
울릉군은 최근 병 제품을 취급하는 관계자를 대상으로 간담회를 열고 빈병보증금제도를 홍보했다. 빈병보증금제도는 소비자가 판매처에 반환하면 병당 40~50원을 돌려받고, 빈병은 플라스틱 박스에 담아 제조사에 반납하는 것이다. 빈병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을 경우 행정기관이 판매자에게 과태료를 물릴 수 있다. 그동안 빈병보증금 환불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만큼 울릉군은 주민들에게 제도를 알릴 수 있는 홍보용 스티커도 따로 제작했다.
울릉군은 계도기간을 거쳐 4월부터는 단속도 한다는 방침이다. 빈병'폐타이어'플라스틱 등 수거한 재활용 생활쓰레기를 육지로 내보내기 위한 예산 2억원도 확보했다.
울릉군 관계자는 "빈병 회수체계 정비를 시작으로 매립 폐기물을 줄여 '친환경 녹색 섬'이라는 슬로건에 걸맞은 깨끗한 울릉도를 만들어가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