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부처는
눈 한 번 감았다 뜨면 모래무덤이 된다
눈 깜짝할 사이도 없다
그대여
모든 게 순간이었다고 말하지 마라
달은 윙크 한 번 하는데 한 달이나 걸린다
-문학과지성 시인선 『의자』, 2006.
돌부처가 눈을 감았다 뜨면 돌은 부서져서 모래가 될 것이다. 그런데 돌부처가 눈을 한 번 감았다 뜨는 시간은 얼마나 많은 세월이 흘러야 할까? 달이 윙크를 한 번 하는 시간은 1개월이 걸린다. 눈을 깜빡거려서 윙크를 보내는 일은 사랑을 표현하는 행위다. 현대인들도 사랑을 한다. 텔레비전 채널을 돌리기만 하면 온통 사랑이야기다. 산다는 것은 어쩌면 사랑을 하는 일이다.
그런데 현대인들의 사랑은 그 만남과 헤어짐이 무상하다. 만났다 헤어지는 일이 마치 밥을 먹는 것처럼, 혹은 나들이 다녀오는 것처럼 빠르고도 쉽게 이루어진다. 시인은 달이 윙크하는 것의 느림과 사람들의 사랑의 빠름을 대비하고 있다. 그 대비가 능청스러워 읽는 사람들로 하여 빙그레 미소를 자아내기까지 한다. 이정록 시인은 실제 유머가 풍부하여 늘 좌중을 즐겁게 하는 시인이다.
시인은 이 시를 통해 시간에 대해 말하고 있다. 불교에서는 가장 긴 시간을 겁(劫)이라 하고 가장 짧은 시간을 찰나(刹那)라고 한다. 시간을 주관적으로 인식하면 일각도 여삼추가 되고 영원처럼 긴 시간도 순간이 된다. 현대인들은 물리적 시간에 길들여져서 늘 시간에 쫓기며 산다. 그래서 한국 사람은 '빨리빨리'를 입에 달고 산다는 명예롭지 못한 말을 듣기도 한다. 어떤 이는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진 뒤 '그대와의 짧았던 순간'이라고 말한다. 달의 윙크에 비하면 그의 사랑은 결코 짧았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시간의 길고 짧음은 시간을 인식하는 주체가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따라 길다고도 할 수 있고 짧다고도 말할 수 있다. 늘 시간에 쫓기는 현대인들은 느림의 미학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권서각 시인 kweon51@cho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