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전에는 대구 미세먼지 줄었는데…

입력 2014-03-07 10:29:16

2011년 산업활동 감소 영향

대구의 미세먼지(PM10) 배출량이 경기 침체로 인한 차량의 주행거리 감소와 연료 소비 감소 등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2011년 대구의 미세먼지 배출량은 총 1천240t으로 전년(1천269t)에 비해 2.34% 줄었다. 대구의 미세먼지 배출량은 ▷2007년 1천993t ▷2008년 1천399t ▷2009년 1천331t 등으로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에 대해 국립환경과학원은 차량의 주행거리 감소와 제조업에서의 연료 사용량 감소 등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실제로 차량 미세먼지 배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화물차의 2011년 주행거리는 2010년에 비해 36.4% 줄었다.

미세먼지 배출량은 구'군마다 큰 차이를 보였다. 2011년 구'군별 미세먼지 배출량을 보면, 달서구가 259t으로 가장 많았고 서구 208t, 북구 193t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은 화물차 운행 등 차량의 주행이 다른 구에 비해 많았고 산업단지가 있어서 상대적으로 연료를 많이 사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수성구(125t), 남구(52t), 중구(45t) 등 공장이 적은 지역은 미세먼지 배출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도 줄어들었다. 2011년 대구의 일산화탄소(CO) 배출량은 3만3천58t으로 전년보다 4.58% 감소했고, 질소산화물(NOx)은 전년 대비 6.76% 줄었다. 황산화물(SOx)과 휘발성유기화학물(VOC)은 전년 대비 각각 5.32%, 4.35% 감소했다.

계명대 김해동 교수(지구환경학과)는 "미세먼지 배출량 감소는 경기 침체에 의해 대구의 산업 활동이 전반적으로 주춤한 것을 가장 큰 원인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최근 미세먼지에 대한 경각심이 강조된 것은 대구 자체 요인보다 중국과 다른 도시의 영향 등 외부 요인이 크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