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 빼가는 경북도청 '금싸라기 땅' 어떡하지?

입력 2014-02-28 10:28:57

대구 산격동 부지 등 道 소유 부지 처리 관심 집중

경상북도가 연말 대구시내에서 '살림살이를 빼갈' 계획을 구체화하면서 북구 산격동 경북도청 부지뿐만 아니라 대구시내에 남아있는 경북도 소유 부지의 처리 방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주변이 아파트단지 등으로 이미 바뀌어 노른자위 땅으로 불리는 북구 동호동 경북농업기술원 부지와 관련, 경북도는 일반 개발사업자에게 매각할 수 있는 준비를 마친 상태여서 구체적 매각 시기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는 상황이다.

경북도가 갖고 있는 대구시내 땅은 ▷현 도청 부지 ▷경북농업기술원 부지 ▷대구시내 도로 편입 부지 등 3종류로 크게 나뉜다.

우선 현 도청 부지(14만2천904㎡)의 경우, 감정가격이 1천767억원(2010년 중앙감정평가원 평가)에 이른다. 대구시는 매입을 희망하지만 너무 비싸서 재정 부담이 크다.

경북도는 국비지원을 통해 대구시로 넘기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도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통과되기를 기다린 뒤 시간을 갖고 매각할 방침이다, 이 법이 통과되면 대구시가 국비를 받아 도청 전체 부지를 매입해갈 수 있다.

경북농업기술원 부지(36만2천899㎡)의 경우, 경북도가 지난 2010년 출자형태로 산하 공기업인 경북개발공사로 소유권을 넘겼고, 경북개발공사가 이 땅의 매각계획을 세울 방침이다.

경북개발공사는 도시계획상 자연녹지였던 이 땅을 대구시와 협의, 지난해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통해 주거'상업'연구개발용지 등으로 변경했다. 이를 통해 아파트 사업 희망자 등 투자자들에게 일반 매각을 할 수 있는 길을 틔웠다.

경북개발공사 관계자는 "자연녹지였던 때 감정가가 761억원이었는데 이제 도시계획이 변경된 만큼 땅값이 많이 뛰었을 것"이라며 "면적이 산격동 도청 부지보다 더 넓은데다 땅값까지 많이 올라 대구시 주도의 공영개발은 힘들 것이고, 일반에 매각하는 방식이 유력할 것"이라고 했다. 경북개발공사는 경북도와 협의해 경북농업기술원의 신도청 이전이 결정되는 대로 매각 작업을 한다는 방침이다,

현 도청 부지, 경북농업기술원 부지 외에도 동구 23곳, 달성군 11곳, 남구 3곳, 수성구 2곳, 달서구 1곳, 북구 1곳 등 모두 7천483㎡ 규모의 대구시내 땅이 경북도 소유로 등기돼 있다. 대부분 도로로 편입돼 있고 임야와 밭, 하천부지 등도 있다.

7천483㎡ 규모에 이르는 땅이 여전히 경북도 소유로 남아 있는 것과 관련, 경북도 측은 "1981년 직할시 승격을 통해 대구가 경북에서 살림이 나가면서 토지 소유자 등기 이전이 빨리 안 되는 등 행정 절차적 문제로 지금까지 대구시내 곳곳에 경북도 소유 땅이 남아 있다"며 "대부분 도로 등으로 편입돼 있는 만큼 이 땅은 대구시에 무상으로 넘긴다"고 했다.

최경철 기자 koala@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