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청문회까지 간 대구대 '내분'

입력 2014-02-17 10:50:33

18일 임원 승인 취소 소명, 학생·교수회 '관치' 요구

대구대'대구미래대 학교법인이 다시 임시(관선)이사 체제로 돌아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2011년 가까스로 임시이사 체제에서 벗어난 학교법인 영광학원(대구대)과 애광학원(대구미래대)이 여전히 파행을 거듭하면서 학생'교수회를 중심으로 관(교육부)의 재개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교육부는 18일 대구대 학교법인 영광학원 이사 전원을 대상으로 임원 승인 취소 여부에 대한 청문회를 진행한다. 청문회는 이사들의 소명을 듣기 위한 절차로, 학교 파행 사태에 대한 이사들의 책임이 드러나면 임시이사를 파견해 새로운 이사회를 구성할 수 있다.

그동안 교육부는 대구대 총장 선임 등을 둘러싸고 내부 갈등을 빚고 있는 영광학원 이사회 측에 수차례 시정을 촉구했다. 지난달 20일을 최종 기한으로 내걸고, 그래도 시정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사립학교법 위반 및 명령 미이행에 따라 이사 전원에 대한 임원 취임 승인을 취소하겠다고 통보했다.

대구대는 재단 비리에 휘말려 1994년 이후 17년간 임시이사 체제를 벗어나지 못하다가 2011년 7월 사학분쟁조정위원회 결정에 따라 구 재단 측과 학교 구성원 측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정이사 체제(현 영광학원 이사회)를 구성했다. 이후 양측은 영광학원 공석 이사(2명) 선임, 학원 산하 4개 학교(대구대'대구사이버대'대구보명학교'대구광명학교)의 장 임명 등에 걸쳐 사사건건 갈등을 빚었고, 결국 청문회를 앞두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그렇다고 청문회가 곧 임시이사 파견을 의미하는 건 아니다. 청문회를 통해 임시이사 파견 여부를 최종 결정하겠다는 것"이라며 "임시이사 파견 쪽으로 결론을 내린다 해도 실제 파견까지는 어느 정도 시일이 걸린다"고 밝혔다.

임시 이사 파견에 대한 구 재단'학교 구성원 측 입장은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다. 구 재단 측 인사들은 "학교구성원 측이 임시 이사 파견을 유도하는 측면이 있다. 교육부가 현재 공석인 2명의 이사부터 먼저 선임하고, 영광학원 이사회 정상화를 다시 요구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대구대학교 본부'교수회'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 등 학교법인 영광학원 정상화를 위한 범대책위원회는 "영광학원 이사회가 학교 업무를 파행으로 몰고 있다'며 "교육부가 최종 시한으로 내건 1월 20일을 넘긴 만큼 책임감 있고 사심 없는 임시 이사를 즉각 파견해 3월 신학기에는 학교 정상화를 지도하라"고 요구했다.

대구대에 이어 대구미래대학 교수협의회도 14일 보도자료를 통해 "재단 비리로 인해 2000년 이후 10여 년간 임시이사 체제를 거친 뒤 2011년 구 재단이 복귀해 현 애광학원을 구성했으나 복귀 이후 만 2년에 접어들면서 우리 대학의 처지는 그야말로 파탄의 처지에 내몰려 있다"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임금 체불, 연구실 폐쇄 등 파행적 학사 운영에 따라 재단 복귀 1년 뒤 '재정지원 제한 대학', 복귀 2년 뒤 '학자금 대출 제한 대학' 선정이라는 최악의 결과를 보이고 있다"며 "며 "교육부가 파행의 당사자인 애광학원 이사 선임을 취소하고 즉각 임시이사를 파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