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우리말을 이해하기 어려울 때가 잦다. 중고생이나 젊은 층이 쓰는 속어'은어나 인터넷 용어에 대한 이해가 아니다. 공식적인 어젠다처럼 대통령이 제시하며 쓰는 말인데도 그 뜻을 알기가 어렵다. 마치 국민에게 '우리말 뜻, 얼마나 아십니까?'라며 퀴즈를 내는 듯하다.
정권 초기에는 '창조경제'라는 말이 유행이었다. 우리말에서 한 낱말은 대개 한 뜻을 갖는다. '창조경제'는 중학생도 아는 낱말인 창조+경제의 구조이다. 각각의 낱말은 잘 아는 것인데 둘을 합하니 갑자기 뜻이 오리무중이 됐다. 학력 스펙이 하늘을 찌르는 장차관들도 뜻을 잘 몰라 설명에 갈팡질팡했으니 국민은 알 턱이 없다.
'창조경제'에 이어 박 대통령이 던진 두 번째 공안(公案)이 '비정상의 정상화'다. 복잡한 부연 설명이 필요한 '창조경제'와는 달리 이번에는 뜻이 단박에 머리에 떠오른다. 그런데 정작 대통령은 다른 뜻으로 생각하고 있는 모양이다. 사례를 보자. 박 대통령은 최근 고위 외교관 4명을 대사에 내정했다. 그런데 이들의 자녀가 이중국적자라는 것이 걸림돌이었다. 그래서 자녀를 한국 국적으로 회복시키고, 병역의무를 이행토록 한다는 확약서를 받았다. 안다고 생각했던 '정상', '비정상'이라는 낱말이 갑자기 낯설어졌다.
이 일에서 가장 비정상인 부분은 이들을 대사에 내정한 것이다. '자녀의 이중국적'이 위법은 아니지만, 사회 통념이나 상식에 어긋난다고 정상 판단을 해놓고선, 이것을 뒤집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아르바이트생 고용계약서도 아니고, 나라를 대표하는 대사를 임명하면서 '자녀 문제 해결 확약서'를 받았다는 것은 차라리 개그에 가깝다. 이쯤이면, 정상, 비정상의 뜻을 제대로 알기나 하는지 의심스럽다.
비정상의 정상화에 대한 대통령의 의지를 꼭 보여주겠다면 멀리서 찾지 않아도 된다. 가장 간단하면서도 '확실히' 보여줄 수 있는 것 가운데 하나가 기초선거 정당 공천 폐지라는 공약 실천이다. 이 문제는 대선 공약 때만 해도 비정상의 정상화였다. 그 뒤, 몇 번의 말장난으로 변죽을 울리더니 슬그머니 비정상을 그대로 두는 쪽으로 갔다. 명백한 공약 포기인데도 대통령은 사과 한마디 없었다. 이것이 비정상이다. 대통령의 말 한마디면 정상이 될 것은 내버려두고, 엉뚱한 곳에서 생색을 내려는 비정상적인 생각부터 정상화하는 것이 먼저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대선 출마하나 "트럼프 상대 할 사람 나밖에 없다"
나경원 "'계엄해제 표결 불참'은 민주당 지지자들 탓…국회 포위했다"
홍준표, 尹에게 朴처럼 된다 이미 경고…"대구시장 그만두고 돕겠다"
언론이 감춘 진실…수상한 헌재 Vs. 민주당 국헌문란 [석민의News픽]
"한동훈 사살" 제보 받았다던 김어준…결국 경찰 고발 당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