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2월 17~22일 이산상봉 제안에 대해 북한이 기약 없는 침묵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추석 상봉이 무산된 데 이어 똑같은 상황이 되풀이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크다. 북한의 조건 없는 상봉 제의에 들떴던 이산상봉 재개의 기대가 다시 차갑게 무너져 내리고 있다.
정부는 27일 북한에 이산가족 상봉행사 준비를 위한 남북적십자 실무접촉을 29일 갖자고 제의했다. 하지만 북한은 이 제안이 나온 후 사흘째 가타부타 말이 없다. 답답한 정부가 대한적십자사 총재 명의로 북한에 화답을 촉구하는 전통문을 보냈지만 이조차 묵묵부답이다.
반면 북은 정부가 실무접촉을 갖자던 29일, 지재룡 주중 북한대사가 베이징의 주중 대사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북남 관계를 하루빨리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6자 회담이라는 쪽배에 먼저 타고 기다리고 있다는 말도 했다. 초청하지도 않은 한국기자들의 회견장 출입도 막지 않았다. 북한이 유엔이 아닌 외국에서 직접 기자회견을 가진 것도, 그들의 대사관에 초대받지 않은 한국기자들의 출입을 허용한 것도 매우 이례적이다.
북이 이산상봉 실무 접촉 제안은 무시하며 베이징에서 동문서답식 기자회견을 연 것은 우리 정부의 의도대로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지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북은 이날 회견에서 역시 키 리졸브와 독수리 합동군사 훈련을 침략전쟁 연습이라며 중단을 촉구했다. 정부가 이산 상봉일을 17~22일로 잡은 것은 북이 키 리졸브를 빌미로 또 이산상봉을 무산시킬까 우려해서였다. 북은 우리에게 상봉시기 결정 권한을 위임한 바 있다.
한'미는 이미 이번 훈련에 참가예정이던 미 항공모함과 전략 폭격기가 참여하지 않도록 배려했다. 북이 이를 빌미로 이산상봉을 무산시키지 않도록 성의를 보인 것이다. 새해 들어 북이 평화공세를 펼치자 정부가 진정성을 촉구한 것도 이런 사태를 우려해서다. 북이 이산가족 상봉에 소극적이고 애매한 태도를 보이며 한쪽에서 6자 회담 재개 등 남북 관계 개선을 운운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 북은 말로 이루는 평화가 아니라 이산상봉부터 성사시켜 이들의 한부터 풀어줘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