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산 상봉 후 통일 대박을 향해 나아가라

입력 2014-01-07 11:35:46

박근혜 대통령이 6일 80분에 걸친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경제, 정치, 복지, 외교를 포함하는 국정의 큰 틀을 국민들에게 전달하고, 12가지 기자 질문도 받았다. 11개 항목에 걸쳐서 전방위적으로 언급된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블랙홀처럼 모든 이슈를 빨아들여 경제 활성화의 불씨를 꺼지게 하거나, 민생 안정에 걸림돌이 될 개헌론과는 거리를 두었다. 법적 판단이 진행 중인 댓글 특검은 적절치 않다고 회피했다. 가장 인상적인 언급은 이산가족 상봉 제안과 통일을 대박으로 본 것이다.

'대박'이라는 대중어를 쓰면서까지 결코 통일이 회피해야 할 부담이 아니라 기회임을 강조한 '통일 대박' 언급은 단박에 국민들이 갖고 있는 통일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는 마법을 부렸다. 네티즌들은 '통일 대박'을 어제 오늘 계속 검색어 상위에 올리고 있다.

사실 종전 60주년을 넘어서고 분단이 고착화되면서 우리 인식 속에서 통일은 불가능한 게 아닐까라는 회의감이 작용하고 있었다. 심지어 통일이 국가에는 이익이 되지만 내 삶에는 득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기까지 했다. 끊임없는 핵개발은 북한에 대한 신뢰를 흔들었고, 최근 장성택 처형과 같은 충격적인 행동도 북한에 대한 거부감을 더하게 만들었다. 북한 정권과는 타협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분단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국민들의 숫자는 근년 들어 증가 추세였다.

하지만 박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은 '통일을 대박'으로 돌려세웠다. 마치 세계적 투자 전문가 짐 로저스 로저스홀딩스 회장이 5년 안에 남북통일이 이뤄질 수 있으며, 통일 한국이 동북아 지역의 생산과 투자 교통의 중심지로 성장 가능성이 가장 커서 자신이 가진 전 재산을 북한에 투자하고 싶다고 말한 것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북한의 싸고 품질 좋은 인력과 7천 500만 남북 인구가 우리 경제의 도약을 위한 기회가 될 것임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통일이 대박'이 되려면, 박 대통령은 새로운 미래를 추구하는 역동적인 나라로 만들어가야 한다. 전후 경제성장과 규범적 발전이 이룬 대한민국이 다시 한 번 더 도약하도록 국민 대통합을 이루어야 한다. 강대국 사이에 끼어 있는 한국이 북한과 교류하여 이산가족에게 희망을 심어주고, 또 남북 간 화해 협력 그리고 통일이 주변 강대국의 이해와도 일치하는 점을 잘 설득하는 능숙한 외교력도 구사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