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상봉' 가능할까?

입력 2014-01-07 10:47:16

김정은 신년사서 '관계 개선' 언급…北, 정부 제안 받아들일 가능성 커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첫 단추로 북한에 이산가족 상봉을 전격 제의하면서 실현 가능성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지난해 추석 당시 북한의 일방적 연기로 인해 막판에 무산됐었다. 하지만 이산가족 문제가 대표적인 인도주의 사안인데다 북한도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신년사를 통해 남북관계 개선 필요성을 언급한 터라 북한이 우리 정부의 제안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우리 정부는 6일 오후 3시 판문점 남북 연락채널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 실무회담 제의 통지문을 유중근 대한적십자사 총재 명의로 강수린 북한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위원장 앞으로 보냈다. 지난해 9월 합의된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개최 직전 단계에서 취소돼 남북이 개최에만 합의하면 명단 교환과 생사 확인 등 실무 준비에 걸리는 시간은 대폭 줄어들 것이라는 게 우리 정부 측 예상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이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받아들일 경우 2013년 9월 남북 적십자사가 통보한 상봉 후보자 가족들을 대상으로 확인 절차를 거쳐 추가 조정이 있을 것"이라며, "결원된 추가 인원 선정은 적십자사가 주도해 이미 남북이 생사 여부를 확인한 후보 가족들을 대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 적십자 실무회담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이산가족 상봉은 2월 초나 중순쯤에는 가능할 것으로 통일부는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 어떻게 반응할지 속단할 수 없다는 의견이 있다. 북한 입장에서는 박 대통령의 기자회견이 획기적인 새로운 대북 제안을 포함하지 않고 있고, 우리 정부가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 문제의 '분리' 방침을 이날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불만을 가질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북한은 우리 제안을 즉각 수용하지 않고 우리의 대북정책 변화를 압박하는 카드로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활용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북한 문제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행사 제안을 받을 가능성이 반반 정도"라며, "남북관계 개선 분위기 조성 차원에서 호응할 여지가 있지만 금강산 관광과 연계시키면서 다시 역제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이명박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2010년 10월을 마지막으로 만 3년 넘게 중단된 상태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