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 회복해 당뇨 근본 치료
당뇨병은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되는 병이다. 정상인의 경우 소변을 통해 당이 넘쳐나지 않을 정도로 좁은 범위에서 혈당이 조절된다. 이 과정에서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중요한 작용을 한다. 그런데 인슐린이 모자라거나 제역할을 못하는 상태가 되면 혈당이 상승하고, 혈당이 지속적으로 높아진 상태, 즉 당뇨병이 생긴다.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률은 1970년 1% 미만으로 추정됐으나 1980년대 3%, 1990년대 5~6%, 2000년대 8~10%로 급증하는 추세다. 하지만 서양의학의 비약적인 발전에도 당뇨병 정복은 아직도 요원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한방에서는 당뇨치료를 위해 우선 피를 맑게 해 간독을 없애고, 체내의 불필요한 찌꺼기를 빼내어 체내 환경을 맑게 하게 하는 약물치료와 더불어 등 뒤를 흐르는 독맥을 자극해 막혀있는 기혈을 뚫는 요법을 병행한다.
사실 기존 당뇨 약은 혈당강하제라는 이름 그대로 문제가 생긴 몸 전체를 다루기보다는 단지 높아진 혈당만을 낮추는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다보니 근본 치료와는 동떨어져 있는 상태다. 화학약품의 특성 상 복용기간이 길면 질수록 약에 대한 내성이 생겨서 초기의 혈당강하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동시에 약물복용에 따른 부작용 등이 생겨 당뇨환자들을 고통스럽게 만들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당뇨약은 한 번 처방을 받으면 평생을 복용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인다.
당뇨소고는 황련'생지황'개똥쑥'여주'마늘즙'노봉방(말벌집) 등 20여 가지의 생약을 72시간 달여서 숙성'건조해 사용한다. 동물실험 결과, 당뇨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다음'다갈'다뇨 등의 증상이 사라지고, 혈당의 현저한 감소를 가져오는 등 당뇨 치료제로서의 효과가 검증돼 '일본약학회지'에 실리기도 했다. 당뇨소고는 인슐린의 생산에 관여하는 췌장 섬세포의 수적증가와 재생효과가 탁월해 당뇨병의 근본 치료에 접근할 수 있다. 보통 3~6개월 정도의 치료가 필요하며, 당뇨의 정도와 나이에 따라서 당뇨소고와 체내 환경을 맑게 하는 약물, 침구치료 등을 복합적으로 운용하게 된다.
강석만 수인한의원 원장
댓글 많은 뉴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
'법카 의혹' 재판 연기된 李 대통령, '쌍방울 대북 송금' 재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