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져나가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예기치 않게 벗어났을 때 '하늘이 도왔다'는 말을 많이 한다. 운(運)이라고 할 수 있는 막연한 뜻의 하늘과 함께 다시 살려주는 덕을 고마워할 때 이천(二天)이라는 말을 쓴다. 심한 어려움에 빠졌을 때 적극적으로 나서서 도와주는 또 다른 하늘이라는 뜻이다. 대개는 절친한 친구가 이에 해당한다. 드러난 것으로만 보면 좋은 뜻이지만 어원은 조금 다르다.
중국 동한(東漢) 때 소장(蘇章)이라는 높은 직책의 지방 관리가 있었다. 그가 다스리는 한 지역 태수의 부정부패가 심했는데 그는 소장의 절친한 친구였다. 법 집행을 위해 친구를 방문하자 친구는 술상을 마련해 놓고 '사람들은 모두 하늘이 하나인데 나는 둘이다'(人皆有一天 我獨有二天)며 비리를 눈감아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소장은 '오늘의 술자리는 사사로운 우정이지만 내일 할 일은 공적으로 법을 시행하는 것'이라며 술잔을 나누고서, 다음 날 법대로 엄정하게 처리했다고 전한다.
정직이나 성실로 무장한 자신이 아니라 '빽'과 비슷한 이천을 믿었다가 낭패를 당하는 꼴을 자주 본다. 절대적인 신뢰 관계에 있어야 할 가족의 불화로 살인 사건이 벌어지고, 친구나 아내, 남편에게 배반당하는 사례도 빈번하다. 이러한 예는 주변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평범한 사람이나 이름만 대면 알 만한 유명 인사를 가리지 않고 일어난다. 다만, 유명 인사는 믿는 이천이 친구가 아니라 권력이나 금력이라는 데 차이가 있을 뿐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사자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조현오 전 경찰청장이 항소심에서 징역 8월을 선고받고 구속수감됐다. 1심에서 10월을 선고받아 구속되고 나서 보석으로 나왔지만, 항소심 판결로 재수감된 것이다. 그가 근거 없는 말로 전 대통령을 비하한 것은 경찰청장이라는 권력을 믿었던 탓일 것이다. 또 그룹이 풍비박산이 날 위기에 몰린 최태원 SK 회장이나 김승연 한화 회장은 돈과 돈에 기대 만든 권력이 무상(無常)하리라고는 의심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들은 지금, 자신의 이천을 너무 굳게 믿은 나머지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이나 권불십년(權不十年)이라는 말을 우습게 본 대가를 치르고 있다. 자신의 힘으로 만들었든, 굴러들어온 것이든간에 스스로는 물론, 주변까지 황폐화시키는 이러한 이천은 적당히 누려야 모두가 편한 법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