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로어 수 많다 자랑은 옛말, 원치 않는 정보 털릴 부담 커져
대구지역의 한 중소기업 간부인 최한영(가명'45) 씨는 최근 친한 친구 10여 명과 함께 소규모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를 시작했다. 넓은 인맥을 바탕으로 소통하던 기존 SNS와는 달리 친구 수는 50명으로 제한했다. 최 씨는 함께 등산을 간 사진을 올리거나 야근하다 조는 동료의 사진을 찍어 올리는 등 일상을 기록해 서로 깔깔거리며 스트레스를 푼다. "얼마 전 페이스북에 회사에 대한 불만을 올렸다가 사장에게까지 보고가 됐다. 많게는 수백~수천 명의 친구가 연결된 페이스북과 카톡 등은 너무 열려 있다 보니 불안하다."
지나친 신상 털기가 카톡 등 SNS 사용환경을 바꾸고 있다. 자칫 친하지도 않은 사람이 대화내용 등을 퍼 나를 경우 신상 털기에 이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페이스북과 트위터 국내 가입자 수가 각각 1천만 명을 넘기면서 원치 않는 정보 노출과 친구 요청에 대한 부담이다.
'팔로어 수'를 자랑으로 여겼던 것도 옛말. 최 씨의 경우 페이스북 친구가 2천여 명에 이르지만 최근에는 카톡을 통해 50명으로 제한했다. 믿을 수 있는 친구들하고만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 것.
이른바 '폐쇄형 SNS'. 지난해 8월 국내 처음으로 폐쇄형 SNS 서비스를 시작한 네이버 '밴드'는 출시 9개월 만인 지난 5월 1천만 다운로드를 돌파한 뒤 이달까지 1천600만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모임에 초대받은 친구만 참여가 가능하고 해당 모임은 검색도 되지 않는다. 최대 친구를 50명까지만 추가할 수 있는 '데이비', 연인과의 일대일 초소형 SNS '비트윈', 가족만의 SNS '패밀리북'도 있다.
전문가들은 "신상 털기 등이 확산되면서 SNS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한 대화망을 원하면서 폐쇄형 SNS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한다.
최창희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