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채 총장 사표 수리 유보 정국 새 변수로

입력 2013-09-16 10:47:55

혼외 아들 진상 규명 지시…靑 "공직 사회 신뢰 확보"

'혼외 아들' 의혹에 휩싸인 채동욱 검찰총장의 사퇴에 이어 청와대가 사표 수리를 하지 않으면서 정국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당장 16일 오후 국회 사랑재에서 열리는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 간 3자 회담에서 이 문제를 두고 격론이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15일 채 총장의 사표를 수리하지 않고 채 총장 혼외 아들 문제를 둘러싼 의혹에 대해 진상 규명을 계속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채 총장은 13일 법무부가 진상 조사 착수를 공개하자 반발해 전격 사퇴했다.

청와대 이정현 홍보수석은 15일 기자들을 만나 "박 대통령은 공직 사회가 투명하게 신뢰를 확보해야 하며 비리가 있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일관되게 강조해왔다"며 "지금 문제 본질은 사표 수리가 아니라 진상 규명"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진실이 규명되면 깨끗이 해결되는 문제다. 이번 사안을 의도적 프레임으로 몰아가서 청와대에 책임을 묻고 이런저런 의혹을 제기하는 등 본질하고 다른 방향으로 가서 국론을 분열시키고, 공직사회를 흔드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 아니며 총장으로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정치권에선 채 총장의 사퇴에 청와대가 '입김'을 행사한 것으로 계속 비칠 경우, 국정수행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고 보고 이런 의혹 확산을 서둘러 차단하려는 의도가 아니겠느냐는 해석이 나온다.

새누리당도 청와대가 요구하는 채 총장의 '진실 규명'에 힘을 실었다. 윤상현 당 원내수석부대표는 15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채 총장 사퇴 전, 법무부 감찰 지시에 대해 "상급기관인 법무부가 검찰총장에 대해 감찰이 아니라 감찰관을 통한 진상 규명을 지시한 것"이라며, "법무부가 검찰에 자체조사를 요구했으나 검찰이 '못 하겠다'고 해서 부득이 진상 규명을 지시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본인이 사의 표명을 하면서까지 사실무근이라고 주장한다면 진실 규명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은 채 총장의 사의 표명이 청와대의 압박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맹공을 퍼부었다. 이언주 원내대변인은 이날 서명브리핑을 통해 "법무부가 검찰 수장을 대상으로 절차도 무시한 감찰을 진행하는데 정치적 입김이 없다고 믿을 사람은 없다. 이런 식의 감찰은 비민주적이며 헌법 정신을 훼손한 것"이라며, "검찰총장의 사퇴가 독자적 결정이라면 소가 웃을 일이다. 청와대의 거짓 없는 해명을 기다리겠다"고 비판했다.

특히 김한길 당 대표는 "16일 국회 회담의 주요 의제는 국정원 등 기관의 정치개입 폐해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총장 사퇴 문제 역시 그 연장선상에 있다"며 "분명한 답변을 대통령이 준비해줘야 할 것"이라고 청와대를 향해 '돌 직구'를 날렸다. 그러면서 "박근혜정부가 눈엣가시처럼 여겼던 검찰총장을 유신시대도 없었던 사상 초유 방식으로 결국 몰아냈다"고 했다. 16일 오후 열릴 3자 회담에서 채 총장 사의표명 문제를 둘러싸고 박 대통령과 김 대표 간 격론이 예상된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