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금융기관 CEO 설문
국내 금융산업 경쟁력이 미국, 영국 등 금융 선진국 대비 66점에 불과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150개 금융기관 CEO를 대상으로 '금융산업 미래와 경쟁력 강화에 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미국, 영국 등 금융선진국을 100점이라고 할 때 국내 금융산업 경쟁력은 얼마인가'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평균 66.3점으로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업종별로 보면 전 업종이 70점을 밑도는 가운데 은행 69.3점, 보험 66점, 여신금융 65.8점, 증권 62.8점, 자산운용 60.8점 순으로 조사됐다.
국내 금융산업 경쟁력을 위협하는 리스크요인으로 CEO들은 '저성장'저금리 시대에 따른 수익기반 약화'(37.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미국의 단계적 출구전략 실시'(25.6%), '회사채 시장 등 자본시장 경색'(15.3%), '글로벌 금융규제 강화 추세'(13.3%), '중국경제 성장 둔화'(8.3%) 등을 우려했다.
금융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급한 과제로 '금융산업에 대한 규제완화'(46.4%)를 요구하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금융 전문인력 확보'(19.9%), '금융 관련 인프라 확충'(15.2%), '해외진출 확대 등 금융사 수익구조 다변화'(11.3%), '금융사 규모의 대형화'(7.2%)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투자은행(IB) 활성화, 대체거래소(ATS) 도입 등을 골자로 지난달 29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개정된 자본시장법에 대해서는 대다수 CEO들이 긍정적인 의견을 내놨다. 개정된 자본시장법 시행이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응답자의 61.4%가 '긍정적이다'고 답해 '부정적이다'(13.9%)는 답변을 크게 앞섰다.
이와 함께 정부가 추진 중인 창조경제 지원을 위한 금융산업의 역할에 대해서는 '중소'벤처기업 자금지원'(33.1%)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금융 인프라 개선 및 확충'(23.1%), '신성장동력 산업 지원'(18.9%), '글로벌 인력 양성'(16.5%), '해외프로젝트 수주 지원'(8.4%) 등이 뒤를 이었다.
향후 예상되는 금융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로는 '새로운 수익모델 확보경쟁 심화'(37%),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22.3%), '금융의 사회적 책임 수행'(19.6%), '스마트 금융의 보편화'(12.4%) '비용효율화 및 고부가가치 신상품 개발'(8.7%) 등이 제시됐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