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이석기 사태' 전략 놓고 파열음

입력 2013-09-10 10:27:36

민주당이 내란음모 혐의로 구속수감된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 사태 후속조치와 원내 대응 등 출구 전략을 놓고 내홍을 겪고 있다.

정국 주도권을 회복, 장외투쟁의 동력을 회복한다는 방침이나 정작 세부적정국 대응 방향을 놓고 내부 혼선으로 갈피를 못 잡는 모양새다.

일단 민주당은 '이석기 사태'에 따른 수위 조절 지적에도 대공수사권폐지 등을 골자로 한 국정원 개혁안을 밀어붙이기로 했다. 10일 당 국정원특위 회의를 거쳐 최고위원회의 및 의원총회 후 금주 내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 의원 사태에 대한 후속 조치를 놓고 지도부 내에서 파열음이 흘러나오고 있다.

김한길 대표는 8일 '종북세력'과의 단호한 결별을 선언하면서도 제명안에 대해선 신중론을 견지했지만 조경태 최고위원은 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제명안의 조속한 처리를 주장했다. 그는 국정원 개혁에 대해서도 "국정원 해체는 부분적 무장해제"라며 김을 뺐다.

그는 6일에도 이 의원 사퇴에 대한 민주당 책임론을 제기했다.

원내 전략을 놓고도 강온파간 대립이 계속되고 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이날 열린 '김대중과 한국야당사' 출판기념회에서 "2008년 촛불정국에서 원내외 병행투쟁을 소수의견으로 주장했는데 김대중 전 대통령이 전화해 정확한 지적이라고 격려했었다"며 "국회를 외면하지 않는 것이 바로 김 전 대통령의 가르침이자 정신"이라고 원내외 병행 투쟁 방침을 재확인했다.

이에 따라 전 원내대표는 오후 상임위 간사단 회의에서 현안 중심으로 선별적 상임위 가동 방침을 밝혔지만 "민생을 내세워 국정원 문제를 희석하려는 여권의 프레임에 말릴 수 있다", "국정원 개혁 등 장외투쟁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때 잘못된 신호를 보낼 수 있다"는 반대의 목소리도 터져 나왔다.

이에 따라 원내 지도부는 농림수산식품해양위(일본 수산물의 방사능 오염 논란), 기획재정위(세제개편), 산업통상자원위(원전 비리), 국토교통위(4대강 사업) 등 4개 상임위에 대해서만 개최를 추진키로 했다.

서상현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