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로 옆으로 KTX가 씽씽…곳곳에 볼거리
우리나라 노래 중 제일 먼저 떠오르는 노래라면 아마 '아리랑'일 것이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몇 번 아니 수십 번은 불러본 노래이다. 이번에는 아리랑 하면 생각나는 '밀양아리랑'의 고장 밀양으로 떠났다. 청도를 거쳐 밀양으로 달릴 때는 옆으로 KTX가 씽씽 달리고 있었는데, 기차가 지나가는 풍경은 언제 보아도 정겨웠다.
이번 목적지는 '영남루'(嶺南樓)다. 영남루는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보물 제147호이다. 밀양강가의 절벽 위에 주위의 빼어난 경관과 잘 어울리게 지은 조선시대의 누각 이다. 조선시대 때 손님을 머물게 하던 밀주관의 부속 건물로 정면 5칸 측면 4칸에 기둥의 간격을 넓게 하고 마룻바닥을 높여 웅장하면서도 2층 다락형으로 지어 외형적으로도 기풍이 있고 시원한 느낌을 주었다. 좌우 건물이 층계와 복도로 연결되어 건물의 배치에 변화를 주면서도 균형을 유지했다. 전체적으로도 영남제일루의 명성에 어울릴 만큼 웅장했다.
최초의 영남루는 고려 말(1365년) 밀양군수 김주가 신라시대의 절 영남사 터에 같은 이름의 누각을 지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후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여러 차례의 증축과 임진왜란 때 화재, 중건 등의 과정을 겪었으며 1844년에 다시 세워져 현재에 이르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여러 문인들이 영남루를 읊은 시가 전해지고 있다. 또한, 영남루에는 퇴계 이황, 목은 이색, 문익점 선생 등 당대 명필가들의 시문 현판들이 있다. 화려한 단청도 아름다웠다. 영남루 위를 올려다보면서 누가 짓고 쓴 시문 현판들인지 찾아보는 것도 재미있었다.
영남루는 진주 남강의 '촉석루', 평양 대동강의 '부벽루'와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3대 누각의 하나로 불리기에 충분한 경관과 면모를 갖추고 있었다. 보고 또 봐도 감탄사만 절로 나왔다.
만덕문에는 경남유형문화재 제117호인 천진궁(天眞宮)이 있다. 이는 1665년(현종 6년)에 지어진 역대 왕조 시조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특히 영남루 주변에는 석화가 곳곳에 있는데 국화꽃 모양으로 군을 이루고 있었다.
이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아랑사'가 있다. 조선 명종 때 밀양부사의 외동딸 동옥, 즉 아랑낭자가 정절을 지키기 위해 죽었는데, 마을 사람들이 이를 기리기 위해 사당을 짓고 제사를 지내 왔는데 이 사당이 아랑각으로 불리고 있다. 현재 아랑사 안에는 이당 김은호 화백이 그린 영정과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영남루에서 잠시 쉬기로 했다. 바둑 두는 어르신들, 부채질하고 계시는 할머니, 그리고 할머니 손잡고 온 손자 등 많은 사람들이 쉬고 있었다.
영남루, 아름답다고 해야 하나, 멋지다고 해야 하나. 아무튼 멋지고 아름다운 누각이었다. 밤이면 화려한 조명으로 멋있는 야경까지 즐길 수 있다고 한다. 영남루에선 매주 토요일 밀양아리랑 상설공연이 열린다고 한다.
영남루 입구에는 '밀양아리랑' 노래비가 세워져 있다. 바로 옆에 초가집 하나가 있는데 작곡가 박시춘 선생의 생가다. 밀양은 영남루 외에도 밀양읍성과 표충사, 얼음골, 억새가 유명한 재약산 등 볼 것이 많은 고장이다. 볼 것이 많고 재미있을수록 시간은 잘 간다. 벌써 날이 저물고 있었다. 많은 것을 보고 느끼고 즐긴 여행이었다.
윤혜정(자전거타기운동본부 팀장)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