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난이 심하고 호기심이 많은 5개월에서 2년 정도의 반려견은 무엇이든 움직이는 물체가 있으면 잡거나 물어서 확인을 하려고 한다. 이처럼 반려견이 이물질을 삼켜 내원하는 경우가 많다. 둥근 이물질을 삼킨 경우에는 몇 개월이 지나서 나타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가장 많이 삼키는 물건은 동전이다. 반려견이 동전을 호기심으로 갖고 놀다가 보호자가 빼앗으려고 하면 빼앗기지 않으려고 동전을 삼키는 경우가 많다.
4㎏ 정도 되는 10개월 된 퍼그가 구토를 해 내원했다. 보호자는 퍼그 주위에 바둑알을 두었는데 퍼그가 혀로 방바닥을 잘 핥고 다녔다고 했다. 그리고 가끔 이물질을 주워 먹고 구토를 했다고 했다. 엑스레이 사진을 보고 병원 스태프들은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퍼그의 위 안에는 바둑알이 자그마치 26개가 들어 있었다.
최근 유기견으로 들어온 치와와를 입양시킨 적이 있다. 다섯 살 수컷이고 체중은 2.5㎏ 정도 되는 귀여운 강아지였다. 입양을 한 지 2달 정도 지나 병원에 왔다. 자리를 옮겨다니며 잠을 못 자고 불안해하고 가끔 비명을 질렀다고 했다. 혈액검사와 방사선 촬영을 해보니 소장 부위에 선명한 금속성의 원형 이물질이 보였다. 보호자는 무엇인지 짐작이 가는 것이 없다고 했고, 나 역시 무엇인지 알 수 없었다. 배를 열어보니 그 이물질은 붙어있는 2개의 자석이었다. 소장 끝부분인 회맹결장 부위 바로 앞쪽의 장 폐쇄를 유발해 통증이 심했던 것이었다.
고양이는 끈으로 된 이물질을 삼켜 문제가 된다. 실타래를 가지고 놀다가 실을 삼켜 내원하는 경우도 있고 운동화 끈을 가지고 놀다가 삼켜 내원한 경우도 있다. 끈 같은 이물질은 장에 손상을 주어 복막염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어린 반려견이 끈 등의 이물질을 먹어 항문에 끈을 달고 다니면 줄을 빼려고 당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아주 위험하다. 항문에 달린 줄을 당길 경우 장이 잘려 복막염을 유발해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항문에 줄이 달려 있는 경우 절대로 당기면 안 된다.
개나 고양이 이외의 다른 동물도 이물질을 삼키는 경우가 종종 있다. 거북이가 어항에 있는 돌을 삼켜 내원하는 경우도 있고, 대형 이구아나가 철로 된 빨래집게를 삼켜 내원한 경우도 있었다. 반려동물이 삼킬 수 있는 이물질을 주변에 두지 않는 것이 제일 좋은 예방책이다.
최동학 (대구시수의사회 회장)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