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불황으로 자산운용 손실이 커지면서 국내 보험사들의 지급여력이 크게 떨어졌다. 특히 현대하이카, 한화손해보험, 흥국화재 등은 위험수준에 이른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6월말 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RBC)은 273.7%로 전분기의 307.8%보다 34.1%포인트(p) 하락했다. 생명보험사 RBC는 277.7%로 39.8%p, 손해보험사 RBC는 264.3%로 20.6%p 떨어졌다.
이는 미국의 양적완화 출구 전략 가시화로 채권 금리가 상승하고 주가가 하락하면서 유가증권 평가 손익이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보험사는 보험업법에 따라 RBC를 100% 이상 유지해야 한다. 금융감독원은 금융위기 등을 대비해 150% 이상을 유지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RBC가 100% 미만으로 떨어지면 보험사의 도산 가능성이 커진다.
손보사 중에서는 현대하이카의 RBC가 135.6%로 가장 나빴다. 한화손보(147.1%)와 흥국화재(159.1%)도 심각한 상황이다. 현대하이카측은 "자동차보험만 하다보니 최근 손해율 급등으로 어려움이 있었다. 내달 증자 등을 하면 RBC가 200% 가량 될 예정이어서 여건이 좋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형 손보사 중에는 LIG손해보험의 RBC가 165.7%로 낮은 편이었다. 현대해상도 189.6%로 RBC가 200%를 넘지 못했다.
우리아비바생명의 RBC는 154.6%로 생보사 중 최악이었다. KB생명(155.9%), KDB생명(159.5%)도 좋지 않았다. 400%가 넘었던 삼성생명의 RBC도 334.8%로 떨어졌다.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RCB를 150% 이상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는데 이에 미치지 못하거나 겨우 넘는 보험사에 대해서는 증자 등으로 리스크 관리를 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이경달'유광준 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