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신공항 무용론…지역 없는 수도권 언론

입력 2013-06-20 11:28:27

수도권 논리만 일방 옹호 비판사설 일제히 쏟아내,

수도권 중심 사고에 갇힌 남부권 신공항 무용론이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18일 국토교통부와 영남권 5개 시'도가 신공항 수요조사에 전격 합의한 이후 이를 비판하는 일부 수도권 언론의 억지 주장이 줄을 잇고 있는 것.

신공항 건설의 첫 단추를 끼운 이 시점에서 최우선 과제는 영남권 1천300여만 주민의 염원을 지역 이기주의로 몰아붙이는 수도권 여론에 맞서 신공항 필요성에 대한 체계적 논리를 개발하고 적극적으로 알리는 것이라는 목소리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국민일보는 20일 자 '또 영남권 신공항…국토부 공무원 영혼도 없나'라는 사설에서 "지역 거점공항이라며 만든 양양과 무안 국제공항은 정치놀음에 휘둘린 대표적 실패사례다. 모든 (신공항) 예산을 취소하고 기존 공항 시설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그나마 국민적 비난을 덜 받는 일이 될 것이다"고 주장했다. 정도 차이는 있지만 ▷신공항, 정말 필요한지 냉정히 따져야(세계일보 20일 자 사설) ▷신공항 수요조사 객관성 담보가 관건(서울신문 20일 자 사설) ▷신공항, 국민이 납득할 근거 대고 동의받아야(조선일보 19일 자 사설) 등 일부 수도권 언론의 사설이 마찬가지 논조를 펴고 있다.

이에 대해 19일 자 매일신문 사설은 "적자투성이 지방공항과 영남권 시도민이 목숨을 걸고 있는 신공항 사업을 동격으로 견주는 것은 수도권 중심주의를 대변하는 전국지의 무리한 여론몰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2년 전 이명박정부 당시 수도권 언론은 '여권 일각 신공항 백지화 가능성' '공항보다 기업이 대구경북에 도움' 등 신공항을 반대하는 전위대 역할을 했고, 결국 정부는 경제성이 없다며 신공항을 백지화했다.

하지만, 경제적 관점의 신공항 무용론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주장이 대세다. 당시 정부 수요 분석에서는 신공항이 들어설 경우 영남권 1천300여만 주민들이 인천공항 대신 신공항을 이용하는 전환 수요나 새로운 유발 수요가 고려되지 않았다.

수도권 언론이 당시 신공항 백지화의 또 다른 요인으로 제기한 지역 갈등 또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허남식 부산시장은 18일 신공항 수요조사 합의 기자회견에서 "타당성조사 결과 신공항 위치가 가덕도가 아니어도 수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범일 대구시장도 "공정, 성실, 객관적인 조사라면 어떤 결과라도 받아들일 것"이라며 "영남권 5개 시'도는 수도권에 대응하는 국토 균형 발전과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반드시 신공항이 필요하다는 대의명분이 우선이라는 데 목소리를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