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쓰레기 바다로 속병든다

입력 2013-06-12 09:15:25

합법적 폐기물 1억톤 넘어, 해역 절반 오염 심화 구역

동해바다가 몸살을 앓고 있다. 20여 년간 버려진 수억t의 쓰레기 때문이다. 해양 폐기물은 당장 미관이나 악취 등 1차 피해를 일으키기도 하지만 해양 생태계 악화와 중금속 오염 등 2차, 3차 피해를 유발시키는 악성종양과 같다.

해양경찰청 자료를 보면 지난해 바다에 버려진 해양폐기물은 229만여t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125만여t은 동해에, 나머지 104만여t이 서해에 버려졌다. 전년도 397만t보다 42% 줄어든 수치지만 국민 5천만 명으로 환산했을 때 1인당 46㎏ 정도를 지난 한 해 동안 바다에 버린 셈이다. 종류별로 분류하면 음식폐수가 119만여t으로 52%, 산업폐수가 107만여t으로 47%를 차지했다.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에 따르면 해양투기가 시작된 1988년부터 2012년까지 25년간 바다에 버려진 쓰레기양은 무려 1억3천만t이며 대부분인 1억t가량이 동해에 뿌려졌다.

정부는 올해부터 하수오니, 가축분뇨, 음식폐기물의 해양투기를 중단했지만 산업폐수와 수산가공잔재물의 투기는 당장 금지할 경우 산업 전반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해 내년까지 유예했다.

그러나 다른 폐기물과 달리 산업폐수는 카드뮴, 납과 같은 중금속 등 유해물질이 고농도로 함유돼 있어 바다 생태계에 더욱 위협적이다.

한국해양연구원의 투기해역 오염 조사결과 투기가 일어난 해역 퇴적물에 함유된 중금속 등 유해물질은 대조해역(비투기해역)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특히 동해안 지역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해양생물 군집조사에 따르면 동해안 지역에는 오염에 강한 갯지렁이류가 많이 발견됨으로써 점진적인 오염전이현상(정상상태에서 중간오염지역으로 변화)이 관찰됐다.

한국해양연구원 관계자는 "동해안 해역 중 53%, 서해안 해역 중 20%가 오염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는 구역으로 판명된다"면서 "납'카드뮴 등의 해양투기 제한 및 중화를 위해 행정조치가 필요할 정도로 오염이 심각했다. 해양배출을 금지하는 휴식년 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윤준하 위원장은 "현재 선진국에서는 그 위험성을 인정해 모두 해양투기를 전면 금지하고 있다. 우리가 앞으로도 수백만t의 폐기물을 바다에 계속 버린다면 일본 등 이웃 국가로부터 손가락질 받을 일"이라며 "죄책감도 없이 해양투기를 행하는 국가가 어떻게 해양강국을 내세우고, 국제해양스포츠를 유치하며 바다를 보호하자고 주장할 수 있겠는가. 하루빨리 오염된 바다 생태계를 회복시키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포항'김대호기자 dhkim@msnet.co.kr

박승혁기자 psh@msnet.co.kr

신동우기자 sdw@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