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장 30개월 만에 33억 적자 논란
"경주 예술의전당은 '돈 먹는 하마'다. 대중성 있는 공연과 구조조정 등 정상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문화시설의 목적은 공공성에 있다. 경제 논리보다 서민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운영돼야 한다."
경주 예술의전당의 대규모 적자 운영이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개장 이후 매년 수십억원의 적자를 내며 이를 메우기 위한 세금 부담이 만만치 않은 탓이다. 반면 타 도시 문화시설보다 월등히 많은 공연 횟수와 싼 공연료로 거둔 문화적 성과를 장점으로 내세우는 이들도 많다. 문화사업의 공공성을 주장하는 것과 운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최소한의 경영 논리를 적용하자는 주장 중 과연 어느 것이 옳은 것일까. 정수성(경주'새누리당) 국회의원은 최근 국정 발표를 통해 "경주 예술의전당이 개장 이후 2년 5개월 동안 모두 33억5천400만원의 운영적자를 냈다. 최소한의 재정자립도를 위해 수익을 올리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 측에 따르면 2010년 11월 개장 이후 예술의전당 수익은 지출금 48억6천100만원의 31%인 15억700만원에 불과하다. 또 이와는 별도로 예술의전당이 BTL사업(민간사업자가 설립한 시설물을 공공기관이 임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까닭에 경주시는 20년간 매해 90억원가량을 시공사인 삼성중공업 등에 지급해야 한다.
정 의원은 "지금 추세대로라면 임대가 끝난 후에도 예술의전당 운영 지원을 위해 매년 45억원 이상의 세금 부담이 발생할 것"이라며 "과도한 재정 부담은 다른 곳에서의 복지 사각을 초래할 수 있어 경주 시민 전체가 위기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예술의전당 측은 정 의원의 이 같은 주장에 대해 "타 도시의 문화예술회관에 비해 높은 재정자립도를 보이고 있다"며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경제 논리를 과도하게 적용할 경우 이용객들의 비용 부담이 늘어나는 등 오히려 만성적인 재정 악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경주문화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문화예술회관의 재정자립도는 평균 18.3%를 나타낸 반면, 경주 예술의전당은 정 의원의 주장처럼 31%를 약간 웃돈 것으로 조사됐다. 즉 운영적인 측면에서 전국 평균보다 12.7포인트나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한 셈이다.
엄기백 경주 예술의전당 관장은 "운영 수익을 올리기 위한 가장 손쉬운 방법은 관람료를 더 받는 것이다. 결국 양질의 공연을 저가로 시민들에게 공급해야 할 공공 문화시설의 의무를 망각하는 일"이라며 "경주 예술의전당이 설립되고 지역 예술인들이 저렴한 사용료로 시설을 이용하는 까닭에 지역 예술의 진흥이 일어나고 있다. 이를 통한 경제 유발 효과도 고려해 달라"고 말했다.
경주'이채수기자 cslee@msnet.co.kr
신동우기자 sdw@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박수현 "카톡 검열이 국민 겁박? 음주단속은 일상생활 검열인가"
'카톡 검열' 논란 일파만파…학자들도 일제히 질타
이재명 "가짜뉴스 유포하다 문제 제기하니 반격…민주주의의 적"
판사 출신 주호영 국회부의장 "원칙은 무조건 불구속 수사…강제 수사 당장 접어야"
"나훈아 78세, 비열한 노인"…문화평론가 김갑수, 작심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