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젠과 톨루엔, 자일렌 등 유해 화학물질이 오염 정화 시설을 거치지 않은 채 대기 중에 마구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화학물질에는 발암물질까지 포함돼 있어 대기오염은 말할 것도 없고 인체 등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이는 각종 유해 화학물질 배출에 관한 당국의 안전 불감증과 허술한 관리 체계가 빚은 결과다.
현행 환경 당국과 지자체의 유해 화학물질 관리는 오염 정화 시설이나 굴뚝 등 배출구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노후 밸브나 파이프, 펌프 등 각종 설비와 노천 작업장, 창틈'환기구 등에서도 각종 화학물질이 새나오고 있지만 전혀 점검이 되지 않는 등 무방비 상태다. 환경부에 따르면 규모가 큰 전국의 3천여 개 사업장에서 2011년 한 해 배출된 화학물질은 5만 2천여t으로 이 가운데 정화되지 않고 배출된 유해 화학물질만도 3만 3천여t에 달했다. 대구경북의 연간 배출량이 5천여t인 것을 감안하면 약 60%의 화학물질이 정화되지 않은 채 배출되고 있는 셈이다.
이 같은 실태를 환경 당국이나 각 지자체 대기오염 관리자들도 알고 있다니 황당하기 짝이 없다. 화학물질의 특성상 정화 시설을 거치지 않고 공기 중에 배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조금만 눈여겨봐도 쉬 알 수 있는 일이다. 그동안 점검 대상에서 제외된 채 마구 배출되는 화학물질이 더 큰 문제라는 점을 알면서도 당국이 그대로 방치해 왔다는 것은 한마디로 직무유기다.
심각한 것은 해마다 화학물질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당국은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의 유해 화학물질 관리 체계를 하루속히 확 뜯어고치고 현실에 맞게 개선해야 한다. 관련 배출 기준과 시설 관리 기준을 만드는 것은 물론 철저한 점검을 통해 유해 화학물질 관리에 더 이상 구멍이 없도록 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