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년 노숙, 지역사회 선제적 대응 절실

입력 2013-05-09 11:35:53

20, 30대 젊은 노숙인의 가파른 증가세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장기적인 경제 침체로 일자리를 얻기 힘든데다 일정한 주거가 없어 PC방'찜질방 등지를 전전하는 청년 노숙 사례가 적지 않아 자칫 사회문제로 비화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 같은 청년 노숙은 경제 상황이 호전되지 않는 한 갈수록 늘어날 가능성이 커 지원 대책 마련 등 지역사회의 선제적 대응이 절실한 상황이다.

현재 파악된 대구 노숙인은 대략 270여 명가량으로 이 가운데 청년 노숙인의 비중이 아직은 크지 않다. 하지만 40, 50대 중장년층 노숙인과 달리 청년 노숙인은 부모 이혼 등 가정 해체로 인해 사회적 연결 고리가 끊기거나 일자리 부족 등 사회구조적 이유가 크다는 점에서 이를 방치할 경우 사회 부적응 상황이 심화되고 장기 노숙 등 부작용이 우려되는 것이다.

무엇보다 주거가 일정하지 않다 보니 일자리 구하기도 쉽지 않고 이로 인해 노숙이 장기화되면서 패배주의에 사로잡히거나 알코올 중독, 범죄 등에 노출되는 등 악순환이 반복될 확률이 높다. 이런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개인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자활에 필요한 주거와 일자리 알선 등 지역사회의 지원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기성 노숙인과 달리 이들은 삶에 대한 희망과 의지가 더 크다는 점에서 정상적인 사회생활로 복귀하고 안착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

청년 노숙인의 자활을 위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는 현실성 있는 취업 교육과 주거 혜택이다. 이들이 사회로 복귀해 혼자 힘으로 당당히 설 수 있도록 차별화된 대책이 시급한 것이다. 가난과 저학력, 가족 해체로 인한 사회적 연결 고리 부재의 굴레가 이들을 노숙으로 내몰고 사회의 그늘이 되는 일이 없도록 지역사회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