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매출 증가 미미, 편의점·슈퍼마켓서 이익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시작된 대형마트 의무휴업이 1주년을 맞았다.
지난 1년간 월 2회 일요일 휴업을 해야 했던 대형마트는 매출이 감소하는 등 영향을 받았지만 전통시장이나 골목상권에 돌아간 혜택은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다.
◆지역경제에 얼마나 도움되나
지난 1분기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 3사의 매출액 합계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4% 하락했다. 이마트의 경우 지난해 전체 매출 신장률은 2.9%로 2011년 9.5%에 비해 하락했다. 롯데마트와 홈플러스는 각각 1.9%, 4.4%씩 매출이 감소했다.
대구지역 대형마트 업계에 따르면 의무휴업 이후 매장별로 월평균 3억원 가량의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진욱'최윤정 교수가 최근 발표한 '대형소매점 영업제한의 경제적 효과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11년 1월 1일부터 지난해 6월 30일까지 대형마트 매출을 분석한 결과 월평균 2천441억원의 매출액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통시장과 중소상인에게 돌아간 금액은 336억~418억원에 불과해 유통업체에서 줄어든 매출의 5분의 1 정도만이 시장과 골목상권으로 흘러들어 간 것으로 파악됐다.
시장경영진흥원이 조사한 전국 전통시장의 시장경기동향지수의 경우 의무휴업 도입 직전이었던 지난해 3월 42.5에서 올 3월 53.4로 크게 호전됐지만, 100을 기준으로 하는 수치를 감안했을 때 여전히 시장 상인들이 체감하는 경기는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업계는 대형마트 매출 감소분이 일부 전통시장으로 옮겨가긴 했지만 이보다는 편의점이나 의무휴업 제재를 받지 않는 중'소형 슈퍼마켓이 반사이익을 보고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지난해 대형마트 3사의 전체 매출은 2011년 10.7%에서 반 토막이 난 5.1%이었지만, 편의점은 2011년 17.9%에서 2012년 18.3%, 인터넷 쇼핑몰 등 무점포 소매업 매출은 10.7%에서 11.0%로 상승하며 두자릿수 성장세를 유지했다.
◆전통시장 활성화 해법은
영업규제를 받는 대형마트뿐 아니라 마트에 납품하는 중소'영세업체들과 농어민들도 타격을 입고 있다. 농업경영인연합회 등 6개 농수산업단체에 따르면 대형마트의 의무휴업 이후 지난해 연말까지 농어업법인의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23.4% 감소했다.
또 대형마트에 제품을 납품하던 업체들은 매출 감소로 직원 수를 줄이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대형마트 납품업체들의 단체인 '농어민·중소기업·영세임대상인 생존대책투쟁위원회'는 개정 유통산업발전법에 대한 헌법소원과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우리 국민의 10명 가운데 8명은 대형마트 규제를 유지하거나 더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연대와 민주통합당 원혜영'김용익 의원이 20세 이상 성인남녀 1천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대형마트 영업시간 제한 및 의무휴업 제도에 대해 현행 제도를 유지하거나(46.3%) 더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39.5%)은 80%를 넘었다. 전통시장과 동네상권을 살리기위해 시장을 더 적극 이용하자는 의견을 가진 응답자는 56.6%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또 '중소기업'중소상인 적합업종제도' 도입에 대한 찬성도 68.1%에 달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들은 "지난 1년 간 대형마트 규제가 전통시장이나 골목상권 등 지역경제에 직접적인 활성화를 이뤘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시민들의 의식에는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며 "전통시장과 영세업체들의 자생력 강화를 돕는 등의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