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면전 징후 없어…국지전 도발 땐 몇 배 보복"

입력 2013-04-08 11:07:54

핵·미사일 실험 강행해도 전면 군사충돌 위험 낮아

북한의 전쟁 위협이 앞으로 1주일 안에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7일 상황평가회의에서 "북한이 개성공단과 북한주재 외교 공간 등에 10일까지 철수계획서를 내놓으라는 것은 북한의 사전에 계산된 행태로 본다"며 "그 시기를 전후로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같은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정부가 북한의 전쟁 위협이 1주일 내에 현실화될 수 있다는 경고를 낸 것은 북한의 정치 상황이 긴박하게 흐르고 있음을 감지한 것으로 보인다. 일단 15일이 김일성 생일인 태양절이고, 11일과 12일은 김정은이 노동당 제1비서와 당 중앙위 정치국 상무위원, 중앙군사위원장으로 잇달아 추대된 지 1년이 되는 날이기 때문이다. 또 13일은 1년 전 북한이 장거리미사일을 발사했다가 실패한 날이어서 북한이 이 시기에 추가 도발을 계획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북한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게다가 10일은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의 방한 일정(12, 13일) 직전이란 의미도 있다. 여러모로 국제적인 관심을 모으기 좋은 날짜인 것이다.

정보당국은 최근 잇따른 김정은의 핵전쟁 공포 조성 발언과 행보를 분석한 결과 "정부가 파악하고 있는 김정은의 3단계 시나리오가 하나씩 실행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정부가 파악하고 있는 북한의 3단계 시나리오는 ▷전면적 협박 심리전(1단계)을 통해 위기를 고조시키고 ▷외국 대사관과 국제기구 등에 철수 종용(2단계)을 한 뒤 ▷공항'백화점 등 공공시설에 대한 테러나 연평도 포격 등의 국지전 도발(3단계)을 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북한의 도발 위협과 관련,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철저히 대비하는 한편, 혹시 (북한이) 발발할 경우 그 몇 배의 보복을 안겨줄 것"이라고 밝혔다.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은 "북한은 매일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할 내용을 한 건씩 터트리고 있다는데 이른바 헤드라인 전략"이라며, "마찬가지로 청와대는 컨트롤 타워로서 외교안보부처와 함께 지금 이 시간에도 유기적으로 쉬지 않고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철저하게 대비하고 있다. 현재 전면전 징후는 보이지 않으며, 혹시 국지전이 발발한다면 북한은 그 몇 배의 피해를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