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추도시권 육성…'구도심 살리기' 개발 기대감

입력 2013-04-05 11:29:26

지방균형발전 연계 계획… 구도심 재생 중점추진 의지, 지자체 신청땐 지원

정부가 지역균형발전전략으로 중추도시권 육성을 발표함에 따라 대구의 구도심들이 활성화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도심투어로 주목받는 대구 중구 계산동 일대 주택가. 정운철기자 woon@msnet.co.kr
정부가 지역균형발전전략으로 중추도시권 육성을 발표함에 따라 대구의 구도심들이 활성화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도심투어로 주목받는 대구 중구 계산동 일대 주택가. 정운철기자 woon@msnet.co.kr

정부가 지역균형발전 전략으로 '중추도시권 육성'을 공개해 대구의 구도심 재생 사업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국토교통부가 4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한 청와대 업무보고는 '쇠퇴한 구도심 재생에 초점을 맞춰 지방균형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겠다'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쇠퇴 지역으로는 ▷지난 5년간 평균인구 성장률 ▷사업체 수 감소 ▷20년 이상 노후건축물이 절반 이상인 기초단체를 꼽았다. 대구에서는 동'서'남'북'중'수성구가 해당한다.

이에 따라 경쟁력 약화와 노후화를 걱정하면서 도심 살리기에 열을 내고 있는 대구지역 기초자치단체들에 대한 직'간접 지원이 이뤄질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중추도시권을 육성하는 가장 큰 수단으로 정부가 도시재생을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중추도시권 전략은 정부가 인위적으로 규정하지 않고 지자체 신청을 받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중추도시권 육성의 기본방향은 대도시권의 성장거점 육성 및 성과를 주변지역으로 확산하는 방식과 비슷한 규모의 도시를 연계개발하는 '네트워크'(Network) 방식으로 나뉜다.

첫 번째 방식은 대구 등의 광역시와 같이 허브 역할을 하는 지역거점 도시권을 집중적으로 개발해 그 발전의 성과를 인근 위성도시까지 미치도록 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방식은 비슷한 규모의 중소도시를 상호연계 개발하는 것이다. 대구는 허브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인근 군소도시와도 연계가 가능한 곳으로 꼽힌다.

도심재생을 원하는 지자체는 앞으로 정부 정책 변화에 맞춰 프로그램을 짜야 할 전망이다. 앞으로 지방 살리기 추진 방향이 실질적인 성과창출에 기반을 둔 현실성 문제를 가장 중점 육성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중추도시권 육성안'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대규모 신규개발을 하지 않는 대신 지역현실에 맞는 적정 개발'재생 등 패키지 지원에 중점을 두도록 했다. 또 도로건설 등 기반시설 위주의 일률적 방식에서 인문'사회적 콘텐츠를 접목한 소프트한 접근 방식으로 전환된다. 인프라와 복지'문화 시설 등 국민편의와 행복증진에 우선순위를 둬 도시 내 생활공간(Intra-city) 투자를 확대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한편, 정부는 5일 중추도시가 이미 확정된 것으로 알려진 부분에 대해서는 신중했다. 국토부는 별도의 자료를 통해 "일부 언론에서 '대구'부산'대전'울산 등 6대 광역시나 전주'충주'춘천 등과 같이 허브 역할을 하는 지역을 중추도시권으로 지정한다'고 보도한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며 "현재 특정 도시들을 중추도시로 검토하고 있지 않으며 앞으로 지역에서 자발적 제안이 오면 해당 지자체와 프로그램 내용을 협상한 뒤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