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외곽에서 왕릉이거나 최고 지배층에 속한 인물의 무덤이 확실한 통일신라시대 호석(護石)을 두른 석실분(石室墳)이 발견됐다.
이 무덤은 위치나 구조, 크기 등에서 경주시 내남면 망성리의 통일신라말 민애왕릉 추정 무덤과 흡사한 것으로 드러나 관련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은다.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계림문화재연구원(원장 남시진)은 3일 공장 부지에 위치한 경주시 천북면 신당리 산 7번지 일대를 발굴조사한 결과 통일신라시대의 왕이거나 최고 지배층의 대형 봉토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원형 봉토분인 이 고분의 봉분 바깥으로는 3단 석축으로 호석을 쌓아 돌리고 일정한 구간마다 받침돌을 세운 것으로 드러났다. 무덤 주인공을 매장한 석실은 봉토 중앙에서 발견됐다. 호석 기준으로 고분은 지름 14.7m, 둘레는 현재 4분의 1 정도가 유실되고 35.5m가량 남았지만, 원래는 46.3m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호석에 비스듬히 기대어 붙인 받침돌은 대체로 120~178㎝ 간격으로 모두 12개가 확인됐다. 받침돌은 길이 125㎝, 폭 35㎝ 정도로 호석과 맞닿은 상부 부분에는 빗금을 치듯이 돌을 잘 가공한 것으로 밝혀졌다. 석실은 무덤 전면으로 통하는 통로를 별도로 마련한 횡혈식 석실분으로 드러났다.
봉분 앞쪽 동쪽으로 약간 치우쳐 호석에서 120㎝ 떨어진 지점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최고 지배층 무덤에서는 흔히 발견되는 돌로 만든 상(床) 모양 시설물인 상석(床石)이 있던 흔적도 완연히 드러났다. 이 상석은 편평한 상부 판석은 없어졌지만, 하부 구조는 평면 장방형 형태로 모습을 드러냈다. 규모는 동서 216㎝, 남북 133㎝였다.
봉분 뒤편 북쪽에는 봉분을 활 모양으로 감싼 대형 축대가 발견됐다. 이 축대는 현재까지 확인된 길이만 46.5m, 높이 104~138㎝에 이른다. 또 축대 안쪽을 따라 폭 90㎝가량 되는 배수로 시설도 확인됐다.
조사단은 석실 내부 조사가 진행되지 않은 까닭에 이 무덤이 언제쯤 만들어졌는지를 가늠하기 힘들다고 하면서도 "8세기 중반 무렵이 아닐까 추정해 본다"면서 "왕릉 혹은 그에 준하는 최고 신분 층의 무덤임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경주'이채수기자 csl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