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도 조사 60개월 중 주의보 기준 초과 50개월
지난 수년간 조류와 대장균 등이 창궐해온 금호강에 올해 들어 다시 조류 농도가 높아지고 기준치 이상의 대장균이 검출됐다. 하지만 이런 위험성을 알릴 '조류경보제' 같은 제도가 금호강 등 지류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호수와 한강, 낙동강 일부 지점에 적용 중인 조류경보제를 금호강과 같은 지류에도 하루빨리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조류'대장균 양식장
금호강의 지난 5년간(60개월) 클로로필-a 수치를 보면 봄부터 가을까지 빈번하게 조류가 발생해온 것을 알 수 있다.
강창교는 2008~2012년 83.3%인 50개월이 조류주의보 발령 기준인 15㎎/㎥를 넘은 가운데 주의보(15~24㎎/㎥) 수준이 10개월, 경보(25~99㎎/㎥) 수준이 35개월, 대발생(100㎎/㎥ 이상) 수준이 5개월이나 됐다. 월평균 최고수치가 157.8㎎/㎥까지 올라간 달도 있다.
팔달교 역시 같은 기간 83.3%인 50개월(주의보 21개월, 경보 29개월)이, 무태교(북구 산격동)는 73.3%인 44개월(주의보 15, 경보 28, 대발생 1)이, 아양교(동구 효목동)는 41.6%인 25개월(주의보 14, 경보 10, 대발생 1)이 각각 클로로필-a 수치 15㎎/㎥ 이상을 기록했다.
이렇게 금호강에서 조류가 과도하게 번식한 원인 가운데 하나가 높은 총인(T-P)의 농도. 같은 기간(60개월) 조류의 먹이가 되는 영양염류 중 하나인 총인의 수치가 높게 나왔다. 강창교는 50%인 30개월(최고수치 0.901㎎/ℓ)이, 팔달교는 26.6%인 16개월(최고수치 0.787㎎/ℓ)이 총인의 환경기준인 0.5㎎/ℓ를 넘어섰다.
금호강은 대장균에도 안전하지 않았다. 팔달교 인근의 금호강은 2008~2012년 총대장균군수가 환경기준(5천 군수/100㎖ 이상)을 넘어선 달이 30%인 13개월이나 됐고, 기준치의 3배에 가까운 1만4천 군수/100㎖를 기록한 달도 있었다.
대구지방환경청 수질총량관리과 관계자는 "수온이 상승하는 봄철부터 조류가 발생해 늦은 가을까지 이어지는 경향을 보인다"며 "3~5월엔 규조류가 증식하며 수온이 상승하는 5~6월에 녹조류로 변한다"고 설명했다.
◆조류경보제 지류에도 적용해야
환경단체들은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며 금호강에도 현재 호수와 한강, 낙동강에 적용 중인 조류경보제를 도입해 수질을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녹조 문제가 불거졌던 지난해 7, 8월 낙동강과 금호강의 월 평균 클로로필-a 수치를 비교해 보면 금호강에서 조류가 비슷하거나 더 번창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지난해 7, 8월의 클로로필-a 수치는 낙동강의 경우 달성보 18.3'29.8㎎/㎥, 강정고령보 17.8'16.5㎎/㎥, 칠곡보 23.1'19.4㎎/㎥ 등이다. 반면 금호강의 경우 아양교 12.9'25.8㎎/㎥, 무태교 16'29㎎/㎥, 팔달교 14.3'24.2㎎/㎥, 강창교 53.9'49.5㎎/㎥ 등으로 금호강에서 발생한 조류 농도가 더 심한 곳도 있었다. 환경단체들이 지류 관리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이유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은 "낙동강에 녹조가 창궐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질소, 인 등 영양염류와 높은 농도의 조류를 함유한 금호강 등 지류가 흘러 들어오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어 "지류에 대한 관리 없이 낙동강에 조류경보제를 도입한다고 수질이 개선되는 것은 아니다"며 "상수원인 낙동강의 조류를 줄이기 위해선 한강과 낙동강처럼 하루빨리 금호강 등 지류에도 조류경보제를 적용해 수질을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광호기자 kozm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