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문형 제품으로 차별화, 고객이 스스로 찾아와
대형 프랜차이즈 빵집의 공세 속에서도 승승장구하는 '대구 빵집'이 있다. 대구 빵의 맥을 잇고 있는 '최가네 케익'이다.
1940년대 말 대구의 대표적인 3대 제과점의 하나였던 '삼미제과'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최가네 케익' 최무갑(72) 사장은 "대형 브랜드 빵과 맞붙어 이기기 위해서는 그들보다 앞선 기술력과 한 번 붙어보자는 배짱과 각오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최가네 케익'은 동성로 옛 아카데미극장 옆 골목에 있다. 5층 건물이다. 1층은 매장, 2층은 카페 겸 휴게실, 3층부터 5층은 작업장이다.
지하실은 고객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1층 매장에 들어서면 하트 모양 딸기 무스 케이크, 사과 모양 생크림 케이크, 토끼 얼굴 모양의 조각 케이크 등 다양한 케이크가 전시돼 있다.
최 사장 부부와 케이크 기술자인 두 아들, 매장 관리를 담당하는 딸 등 가족이 대구 토종 빵집의 명성을 지키고 있다.
'최가네 케익'의 창업 과정은 이렇다. 최 사장의 아버지는 대구 초창기 빵집의 3인방이었던 '삼미제과' 창업주 최팔용 사장이다. 경주가 고향인 최 사장은 어려서부터 아버지가 빵을 만드는 모습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제빵 기술을 익혔다.
아버지는 한국전쟁 때 대구로 내려오고 나서 육군병원에 빵을 납품했다. 당시 친구인 '수형당'의 진병수 사장과 군납 경쟁을 펼치다가 진 사장의 사업 수완을 이겨내지 못하고 사업을 접었다. 그리고 고향인 경주로 내려가 '최가 빵'을 만들었다.
최무갑 사장은 고교 1학년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학교를 포기하고 전국을 떠돌며 아버지 친구가 운영하는 유명 제과점을 찾아가 기술을 배웠다.
군에서 제대한 후 '뉴델제과점'(최종수 대표)에 취업한 후 결혼도 했다. 10여 년간 총기술자로 근무한 후 마침내 1976년 동성로 한일극장 옆에 '킹뉴델제과점'을 차려 독립했다. 하지만 기술자로서는 탁월한 솜씨를 인정받았지만 경영 능력은 없었다. '로마제과' 경영도 했지만 결국 부도를 내는 등 고배를 마신다.
고향인 경주로 내려가 호텔 제과점에 취직했다. 15년 동안 호텔 제과점에서 근무하면서 경영을 배워 18년 만에 다시 대구로 입성한다. 동성로에 약 43㎡(13평) 규모의 작은 케이크 전문점 '최가네 케익'을 열었다.
주변에는 이미 대형 프랜차이즈 제과점들이 시장을 점령하고 있는 상태였다. 주변에서는 '3개월을 못 버틸 것'이라고 했다.
최 사장은 "다른 업체와 차별화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고 판단했다. 아기 손바닥만 한 조각 케이크 3개를 1천원에 팔았다. 값이 싸고 작은 케이크는 손님들에게 인기를 끌었다. 조각 케이크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손님들이 가게 앞에 줄을 서기 시작했다. 최 사장은 "그때는 사업에 재미를 들여 미친듯이 일했다"고 밝힌다.
2003년 바로 옆 건물을 사들였다. 인근에 대형 프랜차이즈 제과점이 계속 들어섰지만, '최가네 케익'은 승승장구했다. 그 배경에는 최 사장의 특별한 비법이 있다. 바로 '손님 주문형 제품'을 만드는 것이다.
최 사장은 "손님이 딸기를 원하면 딸기를, 블루베리를 원하면 블루베리를 넣어준다"며 "케이크 모양도 손님이 그려달라는 대로 그려준다"고 한다.
직원들에게는 '고객에게 무조건 봉사하라'고 당부한다. 맛으로 봉사하고, 늘 청결함을 유지해 깨끗한 이미지를 심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또 매장 인테리어의 차별화를 위해 진열 상자는 2년에 한 번씩 교체하는 등 고객위주의 경영을 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