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장관 내정자들에 대한 각종 의혹이 줄줄이 불거지고 있다. 먼저 김병관 국방부 장관 내정자에 대해 무기 중개 업체 관련 경력, 부인의 군납 업체 주식 보유, 아들에 대한 아파트 변칙 증여 등 집중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내정자는 영업정지 전 저축은행 예금 인출, 딸에 대한 아파트 편법 증여, 9년간 27억 원의 재산 증가 배경이 논란을 낳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황교안 법무부 장관 후보자는 검찰 퇴임 직후 로펌에서 16개월간 월평균 1억 원씩 16억 원을 받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전관예우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서남수 교육부 장관 내정자는 경주 위덕대 총장 취임 경위와 위장 전입 의혹을 받고 있다. 또 황 내정자와 이동필 농림축산부 장관 내정자, 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 내정자는 각각 피부 질환, 폐결핵, 소아마비 후유증 등의 이유로 병역이 면제됐다.
갖가지 의혹은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철저히 밝혀져야 하겠지만, 일부는 이미 사실로 드러났다. 하나같이 개인적 이득을 위해 탈'불법을 저지른 내용이며 의혹 종합 선물 세트가 이번에도 되풀이돼 국민의 실망감이 이만저만 큰 게 아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유달리 법치를 강조하는데도 같이 일할 상당수의 각료가 법에 어긋난 길을 걸어왔다면 법치도 설득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
새 정부의 초대 내각은 안정감과 전문성을 중시한 인사라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이다. 그러나 관가에서는 일부 내정자들에 대해 보신에 능하며 무능력하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 이처럼 상반된 평가 속에서 도덕성과 청렴성까지 떨어진다면 결코 잘된 인사라고 할 수 없다. 박근혜 정부가 온 국민의 박수를 받고 출범하길 바라지만 인사의 난맥상은 기대감을 접게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