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1차 영남우방타운 아파트주민모임…효목동 비둘기맨션 28년 공동체 문화
설 연휴기간 아파트 층간소음으로 말다툼을 벌이던 40대가 30대 형제를 흉기로 찔러 숨지게 했고, 아래층 주민이 위층에 쳐들어가 인화성 물질이 든 병을 던졌다. 층간소음 때문에 도시 '공동체 문화'가 위협받고 있지만, 아파트 주민 간 정(情)을 바탕으로 더불어 사는 공동체 문화를 가꿔가는 주민들과 층간소음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하는 아파트도 있다.
◆대구 달서구 용산동 성서1차 영남우방타운="아파트 주민? 아니죠, 동네 친구죠."
대구 달서구 용산동 성서1차 영남우방타운에는 '배꽃마실통로모임'이라는 모임이 있다. 이 모임의 초대회장인 한상근(57) 씨는 이 아파트에 입주한 지 15년이 됐지만 이사할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 피를 나눈 사촌보다 더 가까운 이웃사촌들이 있어서다. 모임의 시작은 200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한 씨는 반상회가 점점 줄어들면서 이웃 간의 정을 나눌 기회마저 줄어드는 것이 아쉬워서 모임을 만든다는 공고문을 게시판에 붙였다. 불참 시 벌금을 매기는 등 기존의 반상회가 가진 강제성을 버렸다. 10가구가 모였다. 모임이 활성화되자 회원들끼리 못다 한 이야기도 나눴다. 김영문(50) 씨는 "모임에 나간 뒤 다른 회원으로부터 '명절, 여행 때 잠시 집을 비운 사이 애완견이 끙끙하는 소리를 냈다'는 말을 듣고서야 애완견 소음으로 이웃이 고통받는다는 걸 알았다"며 "거슬리는 소리를 들었을 이웃에게 어찌나 미안했던지 이번 설 연휴에는 강아지를 처가에 맡겼다"고 했다.
시간이 흐르고 아파트를 떠난 회원들도 생겨났지만, 이들도 2개월에 한 번 모이는 자리에는 빠지지 않는다. 회원 성낙인(58'경남 창녕군) 씨는 2011년 3월 가족을 남겨두고 귀농했다. 지난여름 통로모임 회원들은 농사일이 익숙지 않은 성 씨를 돕기 위해 창녕으로 떠났다. 마늘과 양파를 수확해주고, 껍질을 까는 것을 도운 것. 성 씨는 "혼자 하기 어려운 일인데 나서서 도와주니 아파트 주민을 넘어 가족의 정이 느껴지는 것 같았다"고 했다.
◆대구 동구 효목동 비둘기맨션=함께 살던 아파트에서 떠나온 뒤에도 유지되는 '반상회'도 있다. 1980년 입주한 대구 동구 효목동 비둘기맨션은 50가구도 안 되는 작은 아파트다. 이곳에 모여 살았던 신혼부부들은 이제 할머니, 할아버지가 됐지만, 이들은 변한 것이 없다. 반상회에서 처음 만난 이들이 따로 모임을 만든 것은 1986년. 모임이 만들어진 지 28년째다. 비슷한 또래 자녀를 가진 부모들이 자녀 교육에 대해 이야기하고 시장에 같이 다니면서 "모임을 하나 해보자"는 말이 나오면서 시작됐다.
이들 사이의 친목관계는 층간소음도 비켜갔다. 어른들의 잔소리에 기가 죽은 동네 아이들이 모두 한 집에 모여 침대에서 뛰고 있었다. 이 모습을 본 주민들은 예민하게 소음에 반응해 얼굴을 붉혔던 것을 서로 사과했다. 김영옥(58'여'달서구 월성동) 씨는 "뛰노는 아이들이 내는 소음 때문에 모임에서도 말이 많았는데 그 사건이 있고 나서는 예민하던 어른들도 층간소음에 관용을 베풀기 시작했다"고 했다.
황말순(61'여'달서구 상인동) 씨도 "채무자에게 담보로 받아놓은 승용차를 구석진 곳에 장기간 주차해뒀는데 사정을 모르는 아이들이 버려진 차인 줄 알고 차 위에서 장난을 쳤다"며 "차가 찌그러져서 크게 손해를 입었지만 모임에서 얘기하다 보니 마음이 풀려서 '아이 키우면서 생길 수 있는 일'이라며 웃고 넘어갔다"고 했다. 10가구에서 시작한 이 모임은 타지로 이사 가거나 직장에 다니느라 정기적으로 참석하지 못하는 이들을 제외하고 7가구가 이끌고 있다. 정해진 모임장소나 이름도 없이 2개월에 한 번 만나 식사를 하고 경조사 때 나서서 돕는 것이 전부다. 황 씨는 "같은 아파트에 살게 된 인연이 이렇게 깊고 오래갈 줄은 몰랐다"며 "뿔뿔이 흩어져 다른 지역에 자리 잡았지만, 여전히 30년 지기 친구들이다"고 말했다.
이지현기자 everyda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