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낙단보 겨울 보수…콘크리트 잘 굳을까

입력 2013-01-23 10:00:09

추운 날씨에 양생 부실 우려…수공 "해빙기 공사 더 어려워"

22일 눈이 내리는 가운데 상주와 의성 사이에 있는 낙동강 낙단보에서 레미콘 차량이 호스를 통해 강물 속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제공
22일 눈이 내리는 가운데 상주와 의성 사이에 있는 낙동강 낙단보에서 레미콘 차량이 호스를 통해 강물 속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제공

국토해양부가 콘크리트를 강물에 주입해야 하는 상주보와 낙단보의 하자보수공사(본지 18'21일 자 4면 보도)를 콘크리트 양생이 잘 안 되는 겨울철에 강행해 부실 우려를 낳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12월 중순부터 2월 중순 사이 동절기에는 레미콘 타설 등 건설공사를 진행시키지 않고 있다.

낙동강사업 시공업체는 고정보에서 떨어지는 물이 닿는 하류 둑에 침하현상이 발생한 상주보에서 한파가 잇따른 지난해 연말부터 콘크리트를 쏟아부어 둑을 고착시키는 보수공사를 벌이고 있다.

또 지난해 연말부터 강바닥이 파이는 '쇄굴 현상'이 나타난 낙단보에서 쇄굴을 막기 위해 콘크리트를 강물에 주입하는 보수작업을 벌이고 있다.

토목전문가들은 "겨울철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공사는 추운 날씨로 인해 양생 속도 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또 다른 부실을 낳을 우려가 높다"며 "낙단보의 경우 수문을 열 때 쏟아지는 물살의 압력에 자칫 콘크리트가 떨어져 나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은 22일 낙단보 보수공사 현장을 찾아 성명을 내고 "감사원 감사결과 4대강사업이 심각한 부실을 안고 있는 것으로 드러난 것은 그동안 정부가 한겨울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 밀어붙이기식 공사를 강행했기 때문이다"고 주장했다.

권상진 한국수자원공사 낙단보사업소장은 이날 "최근 낮 기온이 영상으로 돌아와 수중 청소와 동시에 콘크리트를 수중 타설하게 된 것이다"며 "해빙기가 되면 유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수중작업을 하기가 곤란한 부분이 있어 겨울에도 한파를 피해가며 공사를 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상주'고도현기자 dory@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