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베이징 스모그 중국은 오염 자료 내놔야

입력 2013-01-17 11:29:43

중국 상공을 뒤덮은 소위 '베이징 스모그'가 우리나라에까지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 12일부터 전국 곳곳에서 발생한 중금속 스모그는 베이징 스모그가 한반도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했다. 공기 속 중금속 농도가 대기가 심하게 오염된 베이징 상공을 지나면서 짙어졌고 그 영향을 한반도가 고스란히 받은 것이다.

공교롭게도 베이징 스모그 발생 이후 대구를 비롯한 주요 도시의 미세먼지 농도는 평소보다 2~3배 높아졌다. 특히 대구의 경우 미세먼지 농도가 2천19㎍/㎥ 수준으로 전국 도시 중 가장 높았다. 환경과학원은 2009년 국내 초미세먼지의 32~60%가 중국에서 건너오는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또 해마다 황사 철이 되면 국내 대기 속 납이나 카드뮴 등 중금속 농도가 급증하고 있는 것도 중국의 영향이 크다.

그럼에도 중국과 한국은 대기오염 관리를 위한 공조의 손을 놓고 있다. 중국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 물질은 편서풍을 타고 그대로 한반도로 흘러든다. 중국과 한국이 서로 네 탓 내 탓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국은 자국민들에게 오염 자료를 공개하지 않을 뿐 아니라 피해국인 우리나라에 대해서도 자료를 공유하지 않고 있다.

유럽연합국의 경우 장거리 대기오염 물질 이동에 관한 협약을 맺어 오염 물질이 국경을 넘어 확산될 때 공동으로 모니터링을 한다. 피해를 입은 주변국의 손해배상 청구도 가능하도록 돼 있다.

우리나라도 중국에 중금속 농도 등 오염도 자료를 공유하도록 요구해야 한다. 중국에서 이번처럼 최악의 스모그 사태가 벌어졌을 때 후속 조치를 선제적으로 취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어야 한다. 중국도 마냥 감추려고만 할 때가 아니다. 적극적으로 자료를 공개하고 공동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