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발생한 상주 염산 누출 사고의 원인이 염산 저장 탱크와 연결된 밸브 파손으로 드러나면서 유독 물질 관리와 대응 체계를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금과 같은 낮은 안전 의식으로는 제2, 제3의 유독 물질 누출 사고가 언제든 재발할 가능성이 높고 당국의 미숙한 대응 능력과 자세 또한 피해를 키울 수밖에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무엇보다 유독 화학물질 취급 업체들의 안전 의식이 극히 위험한 수준이라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만약의 사태를 대비해 평소 설비 결함은 없는지, 작업자는 안전 관리 규정을 준수하는지 철저히 확인하고 점검해야 함에도 대충 넘어가면서 이 같은 사고가 빈발하고 있는 것이다. 구미나 상주 사고도 업체나 작업자들이 안전 규정만 제대로 지켰다면 일어날 수 없고 일어나서도 안 되는 사고다. 15일 청주에서 일어난 불산 누출 사고도 작업자가 안전 규정을 지키지 않고 임의대로 점검하다 연결 파이프를 밟으면서 발생했다.
위험 물질 누출 사고에 대한 지자체의 허술한 대응과 폐쇄적인 사후 조치 또한 불안을 키우고 있다. 이번 상주 사고 방재 과정에서 소량의 염산이 우수관을 타고 인근 하천으로 흘러들어 간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상주시와 경북도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2차 오염 문제는 없다고 발표했다. 곧 드러날 사실도 숨기거나 왜곡하는 당국의 이런 자세가 의혹을 키우고 주민 불신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주민 신고가 접수됐는데도 신고가 없었다며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늑장 부리고, 공장 폐쇄로 다량의 위험 물질이 방치돼 있는데도 제대로 현장 점검하지 않은 상주시는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 이런 무책임한 자세가 주민을 재해로 몰아넣는 근본 원인임을 깨닫고 철저히 반성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