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영향분석 개선책 심의 보류
##경북도 "구미시와 협의가 먼저" 구미시 "주차장 완공 일정 약속을"
3년 넘게 무허가 건물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경부선 구미복합역사 정상화 문제가 새해에도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코레일과 구미시가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입주 상인들만 고스란히 피해를 입고 있는 형편이다.
경상북도는 이달 4일 코레일이 제출한 구미역사 교통영향분석 개선 대책 변경안의 심의를 보류했다. 경북도는 코레일이 낸 사용 승인 요청안이 구미시와 협의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 심의안을 반려했다.
구미시와 코레일이 맞서는 가장 큰 이유는 역사 뒤편 지하주차장 조성 시기다. 2007년 복합상업시설 임대차 계약 당시 임대업체인 ㈜써프라임플로렌스는 대형마트 입점에 따른 주차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지하주차장을 짓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역사가 완공돼 임시 사용승인을 받은 2008년 10월부터 4년이 넘도록 주차장 조성이 미뤄지면서 사용승인도 연기됐다.
코레일은 구미역사에 유치할 예정이었던 대형마트의 입점이 무산됐고, 시설 용도도 대규모 판매시설에서 일반음식점과 소매점이 들어서는 근린생활시설로 상업시설 용도가 변경됨에 따라 지하주차장 조성을 차후로 미루자는 입장이다.
우선 구미역사의 사용승인을 받은 뒤 100억원 이상 들 것으로 예상되는 지하주차장과 광장 조성은 민자를 유치해 추진하겠다는 것. 코레일 관계자는 "구미역사가 무허가 건축물이다 보니 입주해 있는 세입자들이 사업자등록도 못 하고 각종 세무관계 등에 불이익을 받는 등 정상적인 영업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무허가 상태가 해소되면 지역 상권 활성화에도 한몫을 할 수 있을 텐데 합의점을 찾지 못해 아쉽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구미시는 "지하주차장 완공 일정에 대해 서면으로 약속하지 않으면 사용승인에 동의할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구미시 관계자는 "일단 사용 승인이 나면 코레일이 주차장 공사를 차일피일 미루더라도 강제할 방법이 없다"며 "결국 주차장은 고사하고 조성 예정 부지만 도심 내 흉물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구미역사는 2010년 1월부터 사용승인을 받지 못한 채 무허가 건물로 운영되고 있다. 구미시는 코레일에 대해 사용승인 지연에 대한 이행강제금 3억4천400만원을 부과한 상태다.
코레일은 760억원을 들여 2003년 말까지 구미역사를 완공할 계획이었다. 이후 13차례의 설계변경 끝에 2008년 10월에야 완공됐지만 사용 승인 조건인 주차장 문제로 2010년 1월부터 무허가 건물로 운영 중이다. 322면 규모의 지하주차장은 구미역사의 상업시설을 임차하고 있는 써프라임플로렌스가 자금난을 겪으며 지난해 7월부터 공사가 중단된 상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