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26년' 조폭 행동대장역
# 주요 배역인 줄 몰라 오버 안 해…그게 작품 살린 힘
영화 '26년'(감독 조근현, 제작 영화사청어람)은 4년 만에 빛을 봤다. 2008년 처음 기획된 영화는 석연치 않은 이유로 투자가 철회돼 몇 차례 제작이 중단됐던 작품이다.
배우 진구(32)는 초반부터 이 영화에 참여했다. 다른 사람들과 달리 하차하지 않고 끝까지 남아 있었다. 다른 작품들에 참여하면서도 틈틈이 이 영화에 신경을 썼다. 비록 배역은 김주안에서 곽진배로 바뀌었지만 그는 온전히 자신의 신념과 행동을 연기를 통해 보여줬다. 다행스럽게도 진배가 그에게 딱 맞아떨어지는 배역같이 느껴진다는 호평이 잇따랐다.
현재 영화관에서 '26년'의 간판은 많이 내려갔지만 여전히 꽤 괜찮은 반응을 얻고 있다. 280만 명(24일 영진위 기준)이 넘게 영화를 보고 분노를 마음속에 새겼다.
진구는 꽤 괜찮은 흥행인데도 좋아하지 않는다. 무미건조(?)하다고 해야 할까. 그 이유를 묻자 진구는 "안 믿겨져야 한다고 해야 하나"라고 반문하며 "내 앞에서 세 번이나 무산되어서인지 와 닿지 않는다. 언젠가 한방에 무너질 것 같은 불안이 아직도 있다"고 했다.
"좋은 결과로 끝나든, 나쁜 결과로 끝나든 극장에서 내려와야 이 영화가 내게 무엇을 줬는지,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속 시원하게 얘기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세 번의 제작 무산이 제게 불신을 준 거죠. 솔직히 '26년'이라는 작품이 물거품처럼 없어져 버릴 것 같았어요."
◆시사회 때 울던 관객들…배우 아닌 동지 된 느낌
물론 그가 무감각한 것처럼 보이는 데는 흥행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이 없어서일 수도 있다. 그는 '혈투'(2011년)나 '모비딕'(2011년) 등 관객의 사랑을 받은 적이 거의 없는 작품에 주연으로 참여했다. 흥행작이라는 걸 그나마 알게 해준 작품은 조연으로 나온 영화 '마더'(2009년)뿐이다. 그는 "'마더' 때도 스태프들이 김혜자 선생님한테 스코어를 말해주는 걸 주워들었던 것밖에 없다. 10년 동안 흥행에 대해 못 들어봤다. 이번에 '흥행작'이라는 말은 처음 들어 본다"고 했다.
어쩌면 그래서 진구가 더 '26년'에 잘 녹아들었는지 모르겠다. '26년'은 1980년 5월 광주의 비극과 연관된 조직폭력배 곽진배(진구), 국가대표 사격선수 심미진(한혜진), 현직 경찰 권정혁(임슬옹), 대기업 총수 김갑세(이경영), 사설 경호업체 실장 김주안(배수빈)이 26년 후 바로 그날, 학살의 주범인 '그 사람'을 단죄하기 위해 작전을 펼치는 액션 복수극이다. 진구가 맡은 조직폭력배 행동대장 진배는 극 전반을 아우르는 중심인물이다. 하지만 진구는 주요 배역인지 모르고 촬영을 했다.
"배우들이 따로따로 촬영한 신이 많아요. 그래서 이렇게나 중심인물인지는 몰랐죠. 그런데 미리 알고 있었다면 오버했을 거예요. 그래서인지 '이 신만큼은 살려야 해'라는 것도 없었죠. 늘 했던 대로 연기했어요. 장광 선배님과 친하니깐 호흡이 잘 맞았고, (한)혜진이와도 친하니 우스갯소리도 하고, 엄마로 나온 (이)미도와도 친하니 따뜻하게 안아 줄 수 있었죠. 제가 잘한 것보다 다른 배우들이 다 연기를 잘해 영화를 살려준 거죠."(웃음)
진구는 또 "관객을 울려야겠다는 생각을 했다면 영화의 균형이 깨졌을 것"이라며 "어찌 배우가 그런 상황을 당해보지 않고 100%를 표현하겠는가. 아무리 표현해도 부족할 것이다. 하지만 최선을 다하자는 생각으로 참여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작품이 진구의 배우 인생에 남다른 의미가 있을 것 같다고 하니 또다시 무덤덤해진다. "이번이 13번째 작품인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에요. 좀 더 시간이 지나야 의미나 애정 같은 게 더 확실히 생길 것 같아요. 지금은 덤덤할 뿐이에요. 다만 평상시에는 시사회 가면 화면에서 나 찾기에 바빴는데 이번에는 좀 더 객관적으로 영화를 본 것 같고, 눈물도 많이 흘렸어요."
진구는 두레 시사회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26년'의 제작이 무산되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한 시민들이 십시일반 돈을 모아 7억원을 마련했다. 그들을 위해 개봉 전 몇 차례 두레 시사회를 열었다. "말보다 관객들의 표정이 기억난다. 3열인가 4열에 앉아 계신 분이었는데 엉엉하고 우시더라"며 "우리를 연예인으로 받아준 게 아니라 일종의 동지로 따뜻하게 맞이해 주셨다"고 기억했다.
또 "제주도에서 관객과의 대화 행사를 하면서 관객들 앞에서 처음으로 눈물을 흘렸다"고 고백했다. "엄마 표정으로 '내 아들 고생했어'라는 느낌이었어요. '곽진배 역할을 맡았습니다'라고 첫 인사를 하고 어떻게 이 작품에 참여했는지 등에 대해 얘기하는데 목이 턱 막혀 버려 말을 잇지 못하고 울었어요. 한 번도 그런 적이 없었는데 처음이었죠."
◆촬영하다 부상·탈진…오히려 정신은 더 맑아
많이 알려지진 않았지만 진구는 부상 투혼도 발휘했다. '그 사람'의 집 앞에서 경찰과 대치하는 신을 촬영할 때다. 초반 촬영이라 호흡이 맞지 않아 부상을 입었다. 그럼에도 몇 차례 촬영이 반복됐고, 진구는 부상에 이어 무더운 날씨 탓으로 호흡 곤란이 와 탈진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별것 아니라는 듯 말하며 "오히려 정신은 행복하고 맑았다"고 웃어넘겼다.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일 가운데 먼 것도 아니고 아주 가까운 역사인데 사람들이 벌써 잊으려고 하면 안 되는 것 같아요. 꼭 총을 맞고, 칼을 맞는 것만이 아픔은 아니잖아요. 마음속 아픔이 더 아플 수도 있죠. 남겨진 분들이 얼마나 더 아플까요? 이런 일이 일어났다는 것을 잊지 말고 기억했으면 하는 바람이 아직도 전 너무 커요."
진구는 인터뷰 내내 한 번도 전임 대통령인 '그 사람'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대한민국 11대 대통령"이라고 한 차례 말하며 "입에 담고 싶지도 않다"고 했다. 아울러 사람들이 원하는 결말이 아니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사람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끝내도 그렇게 시원하지는 않았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진현철(매일경제 스타투데이 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