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의종군 최경환, 인수위 비서실장 맡나

입력 2012-12-22 08:53:25

朴 당선인 인선 고심…崔 의원 "모르는 일"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최우선 업무는 정권인수를 위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를 구성하는 일이다. 인수위의 활동기간은 내년 2월 25일 대통령 취임식 직전까지 50여 일밖에 되지 않지만, 이 기간 인수위는 새 정부의 국정 철학을 세우고 그에 따른 국정과제, 인적구성, 조직개편을 정한다. 차기정부 5년간의 모든 밑그림이 인수위 활동으로 그려진다고 보면 된다.

그래서 인수위 인선은 중요한 업무다. 박 당선인은 이 때문에 21일 하루 일정을 잡지 않았다. 인수위 구성을 위한 고심에 들어간 것이다. 그중 인수위 비서실장이 누가 될지에 관심이 간다. 당선인을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하는 등 당선인의 눈과 귀, 입의 역할을 해야 하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당 안팎에서는 최경환 의원(경산청도)과 권영세 전 의원의 이름이 가장 많이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박 당선인이 이를 두고 큰 고민에 빠졌다고 알려졌다. 내년 2월 말 새 정부 출범 후 대통령 비서실장까지 이어 맡을 인사를 기용할지, 인수위 기간만 자신을 보필할 '2개월짜리' 당선인 비서실장을 임명할지를 두고 결정을 못 내리고 있다는 것이다.

한 여권 인사는 "대통령 비서실장이 될 사람이 당선인 비서실장을 맡게 되면 대통령직 인수위와 나중에 출범할 '박근혜 청와대'의 업무 연결이 수월해진다"며 "2개월짜리 당선인 비서실장을 기용하면 '박근혜 청와대'가 출범하기 전인 인수위 기간 대통령 비서실장 후보를 물색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벌 수 있는 등 두 가지 방안 모두 장점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박 당선인 측근에 따르면 현역 의원은 청와대에 입성하면 의원직을 사퇴해야 하는 만큼 최 의원을 2개월짜리 당선인 비서실장에 역임하고 나서 대통령 비서실장 적임자를 찾는 방안이 가장 많이 고려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 의원 본인에게도 가장 바람직한 방안이다. 3선임에도 경선 캠프에서 핵심 역할을 하느라 국회 상임 위원장직을 맡지 않았는데, 이번에 의원직 사퇴까지 하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많다.

이에 대해 최 의원은 인수위 구성은 전혀 모르는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21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그는 "대선 선거운동 전 백의종군을 선언했고, 선거운동기간에는 지역구에서 박 후보의 당선을 위해 누빈 것밖에 없다"며 "인수위 구성과 준비는 (저와) 무관하고 잘 모르는 일이다. 더는 박 당선인에게 누가 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