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탕평·친박 참여 최소화…최경환 의원 부위장 거론
'박근혜 정부' 출범을 위한 제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민생(民生)에 초점을 맞춘 '실무형'(實務型) 콘셉트로 꾸려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인수위 구성 인원도 줄어들 전망이며 신정부 인선과 함께 박근혜 당선인의 키워드인 '약속 실천'을 반영해 공약 재점검이 중점 사항이 될 것으로 보인다.
16대 인수위는 247명, 17대 인수위 규모는 182명 수준이었다.
인수위 조직은 기획조정, 정무, 행정, 경제, 사회'교육, 문화, 외교'안보'통일 등으로 구성된 5년 전과 크게 다를 것 같지는 않다. 여기에 박 당선인이 대선 과정에서 슬로건으로 내세웠던 여성대통령과 국민대통합, 정치쇄신 등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여성특위'와 '국민대통합 특위', '경제민주화 특위' 등의 특별위원회가 별도로 설치될 가능성이 크다.
인수위 구성과 관련해서도 친박 핵심 인사들의 참여를 최소화하는 대신, 실무형 인사 위주로 인선할 것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과거처럼 인수위에 참여하면 청와대와 정부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배제해야 한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이는 박 당선인의 첫 인사에서부터 '대탕평'과 '탈권위'를 상징적으로 보여줄 것이라는 당선인 주변의 전언과 일치한다.
새누리당 일각에서는 '폴리페서' 발탁에 대해서도 경고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과거 정부에서 이들이 각 부처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호통을 치거나, 추후 자기 자리를 염두에 둔 행동 등으로 '요란한 인수위' 논란을 일으켜왔기 때문이다.
정책 전문가면서도 과거 인수위 경험이 있는 인사들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지난 대선 기간 박 당선인의 정책과 공약을 담당해 온 행복추진위원회 산하 각 분야 18개 단장 중에서 일부가 인수위에 합류할 가능성이 크다. 박 당선인은 이번 주말까지 인수위 구성을 고민하고 나서 26일쯤 인선 내용을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대탕평을 위한 호남 출신 인수위원장이 거론되고 있는데 실무를 맡을 부위원장에는 최경환 의원(경산청도)이 거론되고 있다. 정파와 계파 구분없이 두루 친한 유연한 스킨십과 진중함이 장점으로 꼽힌다. 인수위원과 전문위원 등 실무직에도 박 당선인의 의중을 잘 파악한 비례대표는 물론이고 지난 총선에 출마하지 않은 인사들을 다수 기용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