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3분기 전체 제조업 생산은 작년 동기보다 0.4% 성장하는 데 그쳤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2분기(-5.8%) 이후 최저치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제조업 생산 증가율이 추세적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1분기 10.6%였던 것이 지난해 4분기에는 5.3%로 반 토막이 났고 올 2분기에는 1.5%까지 떨어졌다.
이에 따라 내년도 성장률 전망도 매우 어두워지고 있다. 국내총생산(GDP)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30%에 육박하는데다 서비스업 등 다른 사업에 미치는 전후방 효과도 커 제조업이 위축되면 전 산업이 동반 위축을 겪게 된다. 이렇게 되면 세수도 줄어들어 대선 주자들이 경쟁적으로 내놓은 복지 확대 공약도 시행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제조업은 국가 경제의 중추이자 기반이다. 서비스업을 신성장동력으로 키워야 한다는 소리가 높지만 제조업의 뒷받침이 없다면 공허한 얘기다. 금융위기 당시 제조업이 약한 국가는 엄청난 타격을 받았던 반면 제조업이 강한 나라는 상대적으로 선방했던 사실은 이를 잘 증명한다. 독일이 대표적인 나라다. 독일이 금융위기에 이은 유럽 재정위기에도 흔들리지 않는 것은 바로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업이 버티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사실을 감안하면 제조업의 위축은 시급한 대책을 요구한다. 더군다나 2011년 세계 3위였던 한국 제조업의 경쟁력은 내년에 6위로 내려앉을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대선 주자들은 이런 사실을 아는지, 이미 뱉어낸 복지 공약 때문에 알고도 모르는 체하는지 언급이 없다. 이런 무책임은 내년 경제위기란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다. 그 피해는 대선 주자들이 서로 위하겠다는 서민에게 가장 먼저 덮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